Three Modes of Three Sets Type Korean Keyboards and Unified Designs for North and South Koreas

한글 세벌식 자판의 세 가지 유형과 남북 통합 설계

  • Kim, Kuk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김국 (서경대학교 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North and South Koreas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computer keyboard designs, though both are two sets type keyboards. We expect that the unified design will be three sets type as the third standard. Korean keyboards of three sets type are classified as 3 modes in this paper, such as limited models, medium models, and extended models.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three sets type, 27, 29, 30, 36, and 38 keys models for a unified standard a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호(1979), 한글타자기 자판들에 대한 비교연구,대한산업공학회지, 5.1, 강석호(1979), 한글타자기 자판들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5.1, 27-44
  2. 김덕중(1990), 한글자판문제, 컴퓨터 매거진, 5
  3. 과학기술처, 한글기계화 표준자판안 확정보고서, 1969
  4. 구민모·이만영(2001), 전화기 자판의 한글 입력 효율성평가모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8, 295-304
  5. 국립국어연구원(1992), 컴퓨터 한글 자판에 대한 연구: 자모 결합 빈도 조사
  6. 김국(2008), 키패드(쪽글판)자판 한글 배열의 분류와 설계 원칙, 한국어정보학, 10, 15-29
  7. 김국.유영관(2008가), 사용빈도와 표준정합성을 고려한 컴퓨터 한글자판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7, 7-14 https://doi.org/10.5143/JESK.2008.27.3.007
  8. 김국·유영관(2008나), 한글 키보드 입력을 위한 자소분류 및 한글자판 설계 원칙, 한국어정보학, 10, 116-122
  9. 김국·정병용(2002), 한글자소의 분류와 연속 상관빈도, 대한인간공학회지, 21, 1-11 https://doi.org/10.5143/JESK.2002.21.1.001
  10. 리수락(2007), 기성 우리글 간이건반들의 대비분석과 표준화를 위한 새로운 제안, 한국어정보학, 9, 40-45
  11. 문화부(1991), 한글코드와 자판에 관한 기초 연구
  12. 박경수(1990), 인간공학, 영지문화사
  13. 안마태(2000), 안마태식 통일 자판의 제안: 가장 빠르고 외우기 쉬운 자판, 한국어정보학, 2
  14. 안마태(2001), 초고속 입력 자판 개발과 한글의 세계화, 한국어정보학, 3
  15. 오길록 외, 한글공학, 대영사, 1995
  16. 이만영(1992), 표준한글자판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결정 모형의 개발, 국어정보학회
  17. 정희성(1996), 남북한 컴퓨터 자판 통일안 만들기: 우리말 컴퓨터처리 국제학술대회 참가 관련, 통일, 181, 민족통일중앙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