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erenti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Body Types for the Middle-Aged Plus-Size Women

Plus-size 중년 여성의 체형분류 및 유형별 특성분석

  • Park, Soon-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Paichai University) ;
  • Koo, Mi-Ji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Paichai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body types for plus-size women and obtaining basic data for the wide-ranging choices of ready-made clothing in a consumer's 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lay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ubjects in their 30s and 40s in comparison to standards by ages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ubjects in their 50s when compared with the data from Size Korea (2004). Research data in the height and length categories were lower, and the majority of data from the other categories were higher.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plus-size woman's body, 4 factors were differentiated into 3 types with 17 categories: Factor 1 was the element of the thickness of the trunk, factor 2 was the element of the thickness of the lower body and legs, factor 3 was the element of shoulder size and factor 4 was the element of the upper body length. The accumulation rate was shown to be 74.47%.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were as follows: Type 1 is a body type with a relatively thin waist, small width and girth of upper body and curvy lower body, type 2 is the average body type, and type 3 is a body type with big breasts and abdominal obesity. The standard body type belonged to type 2.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y test between age and type, the characteristics of type 1 corresponded relatively close to the measures of subjects in their 40s and relatively far from subjects in their 30s to 50s while type 2 and type 3 appeared to be similar to subjects in their 50s.

Keywords

References

  1. 20.30대 청년층 비만 인구 급증, (2005, 3. 28). 네이버 뉴스.자료 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041525&
  2. 김성주, 변상식, 변상문. (1998). 군집방법을 이용한 기성품의 구격결정. 응용통계, 3(1).
  3. 고경숙, 성낙응. (1974). 서울시내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증에 대한 고찰. 공중보건 잡지. 11(2), 163-168.
  4. 김우경. (2005). 성인여성의 비만 기준 설정을 위한 예측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순자. (1996).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측면체형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0(2) , 373-389.
  6. 권수애. 김인화. (2002). 비만여성을 위한 재킷 보정법. 한국생활환경학회, 9(2), 166-181.
  7. 남 36-여 34인치 이상은 ‘복부비만’. (2005, 10, 25). 네이버 뉴스, 자료 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056203&
  8. 배주형. (2007).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7). 1008-1019. https://doi.org/10.5850/JKSCT.2007.31.7.1008
  9. 비만인구 증가 '미용수술1위는 지방흡입'. (2008, 5, 8). 스포츠서울 닷컴, 자료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 http://www.sportsseoul.com/news2/life/living/healthmedi/2008/0508/20080508101050201000000_5507854019.html
  10.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4). 한국인인체치수조사.
  11. 서미아, 어미경, 김경아. (2000). 중년 plus-size 성기성복의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18, 187-207.
  12. 손부현, 홍경희, 박세진. (2005). 중년비만여성의 위한 기존 재킷의 패턴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75-483.
  13. 송영득. (1999). 지방세포와 생리. 대한 비만학회, 8(1). 1-6.
  14. 심부자. (2002). 중년여성의 사이즈 스펙개발을 위한 인체치수 및 체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2), 59-70.
  15. 이영란. (1983). 중년기 비만체형을 위한 부인복 원형연구. 청주대학교 논문집, 16, 69-98.
  16. 이주연. (1985). 서울지역 학령기 아동의 비만실태와 이에 형향을 미치는 식이섭취 및 일반 환경 인자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임수연. (1993). PLUS-SIZE 에 관한 연구-패턴과 디자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순원, 김구자, 남윤자, 노희숙, 정명숙, 최경미, 최유경. (1993). 의복체형학. 서울: 교학연구사.
  19. 이준옥. (2001). 개인별 맞춤 거들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비만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은주, 김상만, 권혁찬, 이득주, 조남한, 정윤석. (1996). 여성에서 허리둔부 둘레비와 비만 관련 질환의 예측. 대한비만학회. 5(1), 41-48.
  21. 이진희. (1998). 비만여성의 의복 치수체계 및 커버율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37-748.
  22. 이진희. (1995). 성인 비만 여성의 체형특정 및 기성복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정동림. (2002). plus-size 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혜락, 함옥상. (2000). 중년여성을 위한 기본 원형설계. 한국의류학회지, 24(1), 105-115.
  25. 차인숙. (1983). Silhouetter에 의한 중년부인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영순. (2000). plue-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최운정, 김갑영. (1980). 비만아의 신체발육과 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13(1), 1-7.
  28. 최유경. (1997). 여성 체형의 형태적 분류 및 연령 증가에 따른 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혜선, 이진희. (1995). 의복설계를 위한 비만 여성 체형의 연령층별 특징. 한국의류학회지, 19(5), 842-852.
  30. 하명주. (1985). 대도시 비만아동의 비만요인에 관련된 사회 조사 연구. 대한보건학회학술지, 11(2), 29-52.
  31. 하희정. (2001). Plus-size 여성의 연령별 신체 특성과 의류치수체계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하희정, 김애린. (2003). Plus-size 여성의 연령별 신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문화연구, 11(1), 153-164.
  33. 한애미. (1987). 비만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Frances Leto, Z. (1990). Fashion Design For The Plus-size, Fairchild Publications.
  35. Grerry, C. (1995). Master patterns and Grading For Women’s Outsize. Blackwell Science Ltd.
  36. Kim, H. S. (2001). Leptin interacts with heart rate but not sympathetic nerve traffic in healthy male subjects, Journal of Hypertension, 19(6), 1089-1094. https://doi.org/10.1097/00004872-200106000-00014

Cited by

  1. A Study on the Purchasing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Down-aging Clothes for the Female in their 40s-50s vol.14, pp.3,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3.423
  2. Characteristics of Low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the Improvement of Fit vol.15, pp.2,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