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Constructing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zing Its Effects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 Kim, Hyoun-Ji (Dept. of Welfare, Jeonbuk Science College) ;
  • Cho, Bok-Hee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its possible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care teachers from Jungup City, Korea. Among them, 12 teachers participated m the program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processed 8 sessions in total, a session a week and 9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and videotapes of their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s, wilcoxon signed-rank tests, and video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enhancement than teachers in the comparison group in relation to the post-test of positiv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infant and teacher and teacher' positive re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 (2003). 교사 반응성 프로그램이 교사 및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곽승주. (200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2세 영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선미. (2004). 영아보육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실증 연구 : 서울특별시 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난실. (2004). 만 2세반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석. (2002).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희진, 김언아, 홍희란. (2005). 영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매뉴얼. 서울: 창지사.
  7. 안수연. (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혜련. (2003). 영아의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 및 교사의 기질요인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여성가족부. (2006). 2006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서. 서울: 여성가족부.
  10. 이경림. (2005).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기영. (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영. (1999). 올바른 교육은 요람에서부터: 발달에 적합한 영아프로그램. 삼성복지재단 제 7회 학술대회자료집, 미간행.
  13. 이영미. (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 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완정. (2006).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17, 97-114.
  15. 이은주. (1995). 또래 지위에 따른 교사의 언어적 반응과 그에 따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주희. (2004). 걸음마기 영아교사의 역할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혜련. (2006). 그림책 읽기 상황에서 영아와 교사간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영희. (2000). 영아교육과정. 서울: 양서원.
  20. 장영희, 곽승주. (2004).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동학회지, 25(4). 71-92.
  21. 장현주. (2004).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 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남선. (2002). 영아-교사간 애착안정성과 영아 상징놀이에서의 자기-타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중앙보육정보센터. (2006). 상호작용. 서울: 중앙보육정보센터.
  24. 최미애. (2000).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희양. (2001).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홍명인. (1998).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은희. (2007).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29.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3: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30. Douville-Watson, L., Watson, M. A., & Watson, L. C. (2003). Infants and Toddlers : Curriculum and Teaching(5th ed). Thomson Learning, Inc.
  31.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2. Greenberg, P. (1991). Character Development : Encouraging Self-esteem and Self-discipline in Infants, Toddler, and Two-Year-olds. Washington, DC: NAEYC.
  33.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34.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New York: Guilford Press.
  35. Scarr, S. (1998). American child care today. American Psychologist, 53, 95-108. https://doi.org/10.1037/0003-066X.53.2.95

Cited by

  1.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ild-Peer Interaction on Three-Year-Old Childr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hild Gender and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vol.39, pp.4,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