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Factors Relating and the Abuse of Immigrant Women

결혼이민여성의 학대와 관련요인연구

  • 김민경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individuals, marital relation, migrated-cultural variables and abus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marital relation, and migrated-cultural variables on the abuse. The subjects were 174 immigrant women.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Physical abuse amongst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sidence and income factors, psychological abuse was dependent on residence and native country, sexual abuse was dependent on education level, and total abuse was dependent on residence and native country. The level of abuse (range 1-4) was 2.07, Psychological abuse was the highest with 2.23, physical abuse was next with 1.92 and sexual abuse was 1.78. All the abuse types were influenced by the husband's alcohol behavior, communication efficiency, marital conflict, an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protect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abused. So understanding, reasonable coping,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of abuse victims were provided to immigrant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겔즈. (1998). 가정폭력의 허상과 실상(Intimate violence in families 3rd). 이동원.김지선 옮김. 서울: 길안사.
  3. 공미혜. (1997). 가족주의와 가부장적 테러리즘으로서 아내구타. 가족학논집, 9, 49-79.
  4. 광주광역시. (2009). 광주광역시 2008년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5. 광주여성의 전화. (2004). 광주.전남지역 결혼한 결혼이민여성 실태보고 및 토론회. (사)광주여성의 전화 부설 광주가정폭력상담소.
  6. 김갑숙. (1991). 부부갈등이 부부폭력과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경신, 박옥임, 정혜정. (1999). 가부장적 관점에서의 가정폭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213-239.
  8. 김경빈, 한광수, 이정국, 이민규, 김유광, 김철규. (1991). 한국형 알콜 중독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연구(III). 신경정신의학, 30(3), 569-581.
  9. 김광일. (1992). 가정폭력- 그 실장과 대책. 탐구당.
  10. 김상임. (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기념 심포지엄 학술대회 자료집, 17-48.
  11. 김오남.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33-75.
  12. 김오남.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3), 47-73.
  13. 김정란. (2002). 아내학대에 대한 부부 체계적 접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마드귀드, 엠. (2005). 국제결혼한 필리핀 여성들(한국). 아시아 이주여성 국제포럼, 이주여성의 여성화와 이주여성인권 자료집, 98-101.
  15.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16.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17. 성지혜. (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 연구.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손정영. (1997). 갈등대처유형(CTS2)의 한국부부에 대한 타당성 연구-남편의 갈등대처유형 및 아내학대행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51-79.
  19. 신경희. (2004).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남성과 필리핀 여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성자. (1999). 부부간의 열등감, 성역할태도와 스트레스가 아내강간 경험 및 피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 117-151.
  21. 심선진. (2004). 국제결혼과 여성폭력-국제결혼한 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 국제결혼이주여성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39-50.
  22. 안영희. (1998). 기혼남녀의 부부폭력 경험과 경험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양선화. (2004). 상담사례에서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광주전남지역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및 토론회. (사)광주여성의 전화 부설 가정폭력상담소 자료, 35-45.
  24. 양순미,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돼한 역할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75-91.
  25. 양옥경,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26. 양철호, 김영자, 손순용, 양선화, 신봉관, 조지현. (2003).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광주.전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6(6), 127-149.
  27. 여성가족부.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방안연구.
  28.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 (1999). 한국가정폭력 실태와 행위자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29.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형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패와 전망, 한울: 321-349.
  30.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규삼. (1999). 국제결혼가정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금연. (2003).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33. 이선미. (1995). 부모 자녀의 성역할태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영실. (1989). 도시부인의 부부갈등 제 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영자, 장영애. (2002). 결혼초기 부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정도와 갈등관리방법 및 갈등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1), 79-93.
  36. 이영희. (1993). 가정 내 폭력의 요인에 판한 연구 –남편의 아내폭력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창만. (1992).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전라남도. (2006). 전남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복지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자료집.
  39. 전만길. (2005). 외국인주부 한국생활실태조사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조유리. (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규련. (2000). 한국 농촌여성의 심리적 복지수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93-118.
  42. 최규련. (2001). 한국농촌 여성의 문제경험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16.
  43. 최금해. (2005).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과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219-244.
  44. 최운선.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6(1), 141-181.
  45.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46. 통계청. (2009). 2008년 혼인통계.
  47. 한국염. (2004).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에 대한 여성 사회학적 분석. 이주여성인권센터 3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16.
  48. 홍기혜. (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원표. (1993). 도시 맞벌이 부부의 갈등관리 -부산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Abraham, M. (2000). Speaking the unspeakable: Marital violence among South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51. Ang, M. A. (1995). The Filipino settlement experience in Australia. Asian Migrant, 8(2), 42-46.
  52. Ataca , B., & Berry, W. J. (2002).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https://doi.org/10.1080/00207590143000135
  53. Bienvenu, M. J. (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The Family Coordinater, 19, 26-31. https://doi.org/10.2307/582142
  54. Brecklin, L. R. (2002). The role of perpetrator alcohol use in the injury outcomes of intimate assault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7(3), 185-197. https://doi.org/10.1023/A:1016070427112
  55. Corvo, K., & Carpenter, E. H. (2000). Effects of parental substance abuse on current levels of domestic violence: Apossible elaboration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es. Journal of Families Violence, 15(2), 123-135. https://doi.org/10.1023/A:1007557626788
  56. Dasgupta, O. S. (2000). Charting the South Asian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Souial Distress and the Homeless, 9(3), 173-185. https://doi.org/10.1023/A:1009403917198
  57. Follingstad, D. R., & Dehart, D. D. (2000). Defining psychological abuse of husbands toward wives: Contexts, behaviors, and typologi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5(9), 891-920. https://doi.org/10.1177/088626000015009001
  58. Hass, G. A., Dutton, M., & Orloff, E. L. (2000). Lifetime pervalence of violence against Latina immigrants: Legal and policy implications.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7, 93-113. https://doi.org/10.1177/026975800000700306
  59. Holtzworth, M. A., Smutzler, N., & Bates, L. (1997). A brief review of the research on husband violen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3(2), 285-307.
  60. Hotaling, G. T., & Sugarman, D.(1990). Prevention of wife assault. In R. T. Ammerman and M. Hersen (Eds.), Treatment of family violence: A sourcebook. 385-405. New York, John Wiley & Sons.
  61. Imamura, E. A. (1998). The loss that has no name: Social womanhood of foreign wives. Gender & Society, 12(2), 291-307.
  6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coping and appraisal. New York, Springer.
  63. Leonard, K. E., & Quigley, B. M. (1999). Drinking and marital aggression in newlyweds: An event- based analysis of drinking and the occurrence of husband marital aggress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0, 537-545.
  64. Mason, K. O., & Bumpass, L. L. (1975). U.S. women’s sex-role ideolog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0(5), 1212-1219. https://doi.org/10.1086/225951
  65. Mckenry, P. C., Julian, T. W., & Gavazzi, S. M. (1995). Toward a biopsychosocial model of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2), 307-320. https://doi.org/10.2307/353685
  66. Noller, P., & Fitzpatrick, M. A. (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4), 832-843. https://doi.org/10.2307/353305
  67. Osmond, M., & Martin, P. Y. (1975). Sex and sexism : A comparison of female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Mariage and the Family, 37(4), 744-758. https://doi.org/10.2307/350825
  68. Pearson, J. C. (1989). Communication in the Family: Seeking satisfaction in changing times. New York: Harper & Row.
  69. Piper, N. (1997). International Marriage in Japan: ‘race’ and ‘’gender’ perspectives. Gender, Place and Culture, 4(3), 321-338. https://doi.org/10.1080/09663699725378
  70. Shin, H. (1995). Violence and intimacy: Risk markers and predictors of wife abuse among Korean immigr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71. Smith, A., & Kaminskas, G. (1992). Female Filipino migration to Australia: An overview. Asian Migant, 5(3), 72-81.
  72. Stith, S. M., Rosen, K. H., Middleton, K. A., Busch, A. L., Lundeberg, K., & Carlton, R. P. (2000). The intergernerational transmission of spouse abuse: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3), 604-654.
  73. Straus, M. A., & Gelles, R. J. (1986). Societal change and change in family violence from 1975 to 1985 as revealed by two national survey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2), 465-479. https://doi.org/10.2307/352033
  74. Straus, M. A., Gelles, R. J., &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Garden city, New York: Anchor Press.
  75.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76. Whitfield, C. L., Anda, R. F., & Felitti, V. J. (2003). Violent childhood experiences and the risk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adults: Assessment in a large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8(2), 166-185. https://doi.org/10.1177/0886260502238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