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아플라톡신과 오클라톡신은 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페니 실리움속 곰팡이가 생성하는 가장 치명적이고 중요한 곰팡이독소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주요한 향신료인 고춧가루 중 곰팡이독소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그 오염경로를 확인하여 곰팡이독소를 실질적으로 저감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192점의 시료를 재배포장, 가락시장, 인터넷, 대형마트, GI인증 공장에서 채취하였다. 아플라톡신은 192점의 시료 중 2점에서 검출되어 1.04%의 오염도를 보였다. 오크라톡신의 경우 모두 42점에서 검출되어 평균 21.88%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곡류에서 허용기준치로 설정되어 있는 $5\;{\mu}gkg^{-1}$이상 오염된 시료도 6건으로 3.13%의 오염도를 보였다. 이러한 오크라톡신의 오염현황을 바탕으로 그 오염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배단계에서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 홍고추와 일반재배 고추를 수집하여 동일조건으로 건조하여 비교분석하였으나, 모두 불검출되어 재배단계에서의 곰팡이독소 오염 및 재배방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고춧가루 제조단계에서의 곰팡이독소 생성 비교를 위하여 고춧가루 제조 공장에서 저장 및 제조 과정의 제품, 완제품으로 각각 구분하여 시료를 분석한 결과 저장중인 시료에서는 모두 불검출이었으나, 완제품에서는 $2.32\;{\pm}\;6.54\;{\mu}gkg^{-1}$의 오염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조공장에서 수집한 완제품 간 비교에서도 제조과정 중 자외선 조사 살균과정이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군 간에 $0.33\;{\pm}\;0.91\;{\mu}gkg^{-1}$과 $2.78\;{\pm}\;4.49\;{\mu}gkg^{-1}$ 의 오염도를 보여 역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춧가루에서 곰팡이 및 독소를 제어할 수 있는 중요관리점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Aflatoxin (AF) and Ochratoxin A (OTA) are carcinogenic and possible carcinogenic mycotoxins respectively produced by Aspergillus spp or Penicillium spp. The study for contamination survey and proposal for reduction of mycotoxin in red pepper were carried out. 192 samples were collected at such various stages and markets as pre/post-harvest stages, internet shopping mall /super-market and small stakeholder mill/geographically indicated company. As only 2 samples were positive for aflatoxin, so contamination rate was 1.04%. In the meanwhile, contamination rate for ochratoxin A was 21.88% and a various amount of OTA was detected in 42 positive samples. 6 sample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at higher level than $5\;{\mu}gkg^{-1}$ for ochratoxin A, which was established recently as a maximum permissible limit in ko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gree of contamination with regard to cultivation type because any mycotoxin was not found at all in both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red pepper.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inished products were OTA-contaminated at a level of $2.32\;{\pm}\;6.54\;{\mu}gkg^{-1}$(mean ${\pm}$ SD), even though OTA was not detected in deep frozen red peppers right after long term storage. And contamination for OTA was a level of $0.33\;{\pm}\;0.91\;{\mu}gkg^{-1}$(mean ${\pm}$ SD) in red paprika powder after uv sterilization, while the contamination for OTA was $2.78\;{\pm}\;4.49\;{\mu}kg^{-1}$(mean ${\pm}$ SD) in non-uv sterilized powder. In addition,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higher OTA contamination occurred in some of famous brand products sold in super-market and domestic products than products collected through on-line shopping or from small stakeholder mills and imported products respectively, however,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