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Communal Child Care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육아품앗이 사업 실천사례

  •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communal child care project that would lead towards a more family friendly community. By reviewing the case of the Daejeon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the study revealed that many child care providers showed an interest in communal child care. But the providers also had problems seeking both partners for communal child care and a communal place to gather. The Daejeon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had several elements of strength in communal child care project. First, they provided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 providers to promot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program were satisfactory, in that they showe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uch programs in improving attitudes towards Pumasi, along with customized services and other programs provided b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professional child care services in the attached gym, the Saturday classes for dual earner families, and the prompt response by the center to requests that more space be provided, also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Pumasi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육아연구원(2009).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소개서. 미간행
  2. 김정희(2000). 핵가족 어머니 육아와 품앗이 공동육아: 중간계층 어머니와 아이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6(1호), 95-129
  3. 김주현(2000). 보육의 가족연대적 접근에 관한 연구: 공동육아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 류경희.김순옥(200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9-151
  5. 류경희.김순옥(2001 a) 공동육아협동조합 가족의 공동체성 형성과정-조합형 어린이집 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한 가정학회지, 39(3), 107-133
  6. 류경희.김순옥(2001 b). 공동육아 협동조합의 참여를 통한 이웃과 가족관계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9(11), 193-208
  7. 보건복지가족부(2009 a). 2009년도 가족품앗이 사업 운영 계획. 보건복지가족부
  8. 보건복지가족부(2009 b).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보건복지가족부
  9. 삶의질향상기획단(2003). 생산적 복지:복지패러다임의 대전환. 대통령비서실
  10. 여성가족부(2006).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현황 및 계획. 국무회의 보고자료
  11. 이부미(2000).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31-150
  12. 정병호(199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바람직한 공동육아-인류학적 시각. 우리아이들의 보육을 걱정하는 모임 편. 21세기와 영유아보육. 서울:한울
  13. 조형(1994). 공동육아란 무엇인가. 공동육아연구회 편. 함께 크는 우리 아이. 서울: 또하나의 문화
  14.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9). 운영가이드북.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15. 한국여성개발원(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6.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 방안 수립연구
  17. 대전일보(2009). 엄마표 품앗이 교육에 아이들 '쑥쑥'- 해찬이와 4명의 '펀펀차일드'. 2009. 3. 24. 17면
  18. 품앗이파워. www.pumpa.co.kr
  19. 2030대전맘들. cafe.daum.net/2030daejonm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