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VMD Components on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 focused on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of clothing shop-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 Lee, Mi-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of clothing shop on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for a clothing shop.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516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Ko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stimuli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stimuli were 7 pictures of clothing shop including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variables, and th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or store image, store preference, and subject's demographic attribu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ased on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lothing shop's interior colors affecting store image and preference for clothing shop, white color gave a casual, sophisticated, characteristic, and attractive image to the shops, and brown color gave an elegant, sophisticated image, while black color gave a sophisticated, uncomfortable image, and gray color gave a less positive image to them than other colors. Subjects preferred white, brown, and black color in the order. Second, clothing shop's products volume also affected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Its small volume gave a more sophisticated, elegant image than other volume levels, and subjects preferred small and medium volume of clothing products to their large volume. Third, the effects of shop's interior color and clothes' product volume on store imag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ubject's sex. The results revealed that clothing shop's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are important VMD components affecting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and consumer's sex has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VMD components on clothing shop image.

Keywords

References

  1. 권재경 (1998) 백화점 C.I.와 VMD의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1(3), 209-216.
  2. 김경희, 김기연 (2001) 여대생의 화장품 제품 디스플레이에 의한 구매행동연구. 한국미용학회지, 7(2), 15-23.
  3. 김수진, 정명선 (2006) 의류제품 구매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상징적 점포이미지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1), 48-58.
  4. 김순구, 이미영 (2006) Visual Merchandising. 서울: 경춘사.
  5. 김정희 (2002) 점포환경과 점포 이미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5(2), 85-106.
  6. 류신영 (2003) 백화점 VMD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미란 (1997) 여성의류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소품(소도구)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 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826-840.
  9. 박지민 (2007) 스포츠브랜드 사전지식, 사전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태도와 인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현희, 전중옥 (2004) VMD 구성요소와 패션브랜드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224-234.
  11.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1), 55-70.
  12. 설상철, 권승오 (2002) 대학가 상권의 점포이미지 결정요소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학회, 15(6), 197-212.
  13. 신혜영, 홍병숙 (2004) 감성 캐주얼 의류 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2004년 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185-207.
  14. 심낙훈 (2003) VMD(비주얼 머천다이징). 서울: 우용출판사.
  15. 안진근 (2001) Event Promotion을 활용한 백화점 VMD 현황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민아, 이정교 (2007) 화장품 매장의 VMD를 위한 컬러 프로덕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8(1), 423-431.
  17.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1993) 의류매장 종류에 따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205-211.
  18. 이옥희, 김지수 (2008) 대형할인점 의류매장의 점포애호도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전환장벽 및 고객만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9), 1450-1460.
  19. 이예리 (2003)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DISPLAY에 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은영 (1991) VMD(Visual Merchandising)로서의 의류매장 디스플레이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16, 211-220.
  21. 전달영, 김용환 (1999) 경쟁할인점간 점포선택 결정요인. 마케팅연구, 14(4), 201-225.
  22. 전민지 (2006)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윈도우 정보효과가 방문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전중옥,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9(2), 117-139.
  24. 정운석 (2005) 의류매장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신뢰 및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현재, 윤재은 (2002) 아파트 주거공간에서의 감성적 색채 계획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 48-52.
  26. 조경화 (1989) 브랜드이미지를 위한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국내 여성의류 매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상선 (2003) SHOW WINDOW DISPLAY의 구성요소별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여성의류 매장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최영신, 차소란, 임채진 (2002) 백화점 매장계획을 위한 VMD와 고객동선의 상관관계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2, 121-130.
  29. 한동철, 성희승 (1994) 소비유형이 소비자의 점포디자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2(1), 35-57.
  30. 홍금희 (2000)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점포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24(5), 760-771
  31. Baker, J, Grewal, D, Parasuraman, A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328-339.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4002
  32. Fehrman, KR, Ferhman, C. (2000) Color: the secret influen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3. Fiore, AM, Kimle, PA (1977) Understanding aesthetics for the merchandising and design professional. NY: Fairchild Publications.
  34. Kertfoot, S, Davis, B, Ward, P (2003)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creation of discernible retail brands. International J. of Retailing & Distribution Management, 31(3), 145-150.
  35. Korgaonkar, PK, Daulat, L, Babara, P (1985) A structural equations approach toward examination of store attitude and store patronage behavior. J. of Retailing, 61(2), 243-256.
  36. Louviere, JJ, Johnson, RR (199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rand- anchored conjoint approach to measuring retailer image. J. of Retailing, 66(4), 359-382.
  37. Low, GS, Lamb, CW (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9(6), 350-370.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6966
  38. Mazursky, D, Jacoby, J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J. of Retailing, 62(2), 145-165.

Cited by

  1. The Effects of VM Components on Stor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Stores - Focused on Facade Color and Show Window Type - vol.20, pp.3, 2012, https://doi.org/10.7741/rjcc.2012.20.3.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