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ccording to Peer Friendliness

아동의 또래친밀도에 따른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능력

  • 송지혜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relation with peer friendliness.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hypotheses tha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age, gender, and peer friendliness, and tha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ould affect their social competences. The subjects were 197 of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dong-gu, Seou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irls use more 'external response strategy' than boys do. Elder children use more 'internal response strategy' than younger children, and younger children use more 'problem solving strategy' than elder children. Seco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er friendliness. Children employ more 'problem solving' and 'internal response' strategies to close friends rather than to just friends. Children used more the strategies as 'request for social support', 'evasion', and 'external response' to just friends rather than to close friends. Finally, children's social competencies are influenced by the strategies of 'problem solving' and 'evas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진(1996).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희연, 강문희(1999).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3. 고인숙(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희진(2004).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놀이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연희(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해결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6. 김영란(2000). 유아의 또래관계 친밀도에 따른 놀이개입 시도전략과 집단의 반응.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궁선(1997). 부정적 정서의 조절 전략 발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민하영, 유안진(1998).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6(7), 83-96.
  9. 박금옥(1998). 청소년들의 자기조정학습방략 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 능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경원(1986). 아동의 이타행동의 발달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수현(2004).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주희(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혜경, 박성연(2002). 아버지의 양육 행동 및 남아의 정서 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8), 87-98.
  14. 서은혜(2005).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양식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지영(2003). 부모의 양육행동 및 여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여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미라(1994). 유아들의 화내는 원인 및 화내는 유형 연구 - 유치원 자유놀이 시간을 중심으로-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신혜정(2000).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반응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심희옥(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1(1). 19-33.
  19. 안라리(2004).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양종국(1998). 분노 조절 program이 정서장애 청소년들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21. 위영희(2004). 유아의 정서능력과 또래유능성.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2. 윤석빈(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 사건에 따른 정서 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윤혜정(1995). 아동의 정서 이해 발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복자(1997). 아동의 정서 표현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 표현 수용 태도 -분노와 슬픔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5. 이옥임(1996). 아동의 화 정서 이해 및 화 정서 조절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은영(2002). 과제 상황별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 정서대처 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주일(1998). 체험 정서와 표현 정서의 심리적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 이지선, 유안진(1999). 분노 및 슬픔 상황에서 아동의 정서 조절 동기와 정서 조절 전략.
  29. 이지은(1997). 아동의 정서 표출 규칙 사용 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선사학위 논문.
  30. 이현민(1998). 자녀의 정서 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31. 이혜영(1986).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관한 일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임연진(2002).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33. 임전옥(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34. 장정애(1998).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학교적응, 사회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지연(2001). 유아의 또래간 친밀도가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문제 해결과제 수행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승민(2005).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재윤, 김광운(2002).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 자녀 또래 관계 개입행동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38.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최순옥(1998). 정서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자기 정서 인식 및 정서 조절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최원경(1995). 타인의 정서 상태에 대한 아동의 개입 전략.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최정윤(1994). 정서와 정서 표현에 대한 아동의 이해.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한유진(2004).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2(3), 65-77.
  43. 한유진. 유안진(1998). 부모의 정서 규제와 아동의 정서 표출 규칙 이해. 대한가정학회지, 36(11), 61-72.
  44. 현온강, 이현정(1999).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적응 및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7(11), 167-179.
  45. 홍애경(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정서 지능과의 관계. 전주교육대학교.
  46. 홍지연(2002). 또래지위와 아동의 정서표현에 대한 조절. 연세대학교 대학원.
  47. 황선희(2003). 유아의 대처능력에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73-205.
  48. Band, E. B., & Weize, J. R.(1988).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 Children's perspective on coping with every str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4(2), 247-253. https://doi.org/10.1037/0012-1649.24.2.247
  49. Cole, P. H., Martin, S. E., & Dennis, T. A.(2004).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Child Development, 75(2), 317-333.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73.x
  50.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https://doi.org/10.2307/1131543
  51. Ekman, P., & Friesen, W. (1975). Unmasking the fa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2. Garner, P. W. (1995). Toddlers'emotion regulation behaviors : The role of social context and family expressivenes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6(4), 417 131. https://doi.org/10.1080/00221325.1995.9914834
  53. Fabes, R., Eisenberg, N., Karbon, M., Carlo, G., Schaller, M., & Miller, P.A.(1991). The relation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to children's vicious emotion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62, 1393-1408. https://doi.org/10.2307/1130814
  54. Hartup, W. W.(1991). Hav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keeping friends: Relationship as educational contexts. In Resources in educ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5-854).
  55. Parker, J., & Asher, S. R.(1989).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 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56. Thompson, R.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5-52 https://doi.org/10.2307/1166137
  57. Whitesell, N. R. & Harter, S. (1996). The interpersonal context of emotion: Anger with close friends and classmates. Child Development. 67. 1345-1359. https://doi.org/10.2307/1131704
  58. Zeman, J. & Garber, J. (1996). Display rules for anger, sadness, and pain: It depends on who in watching. Child Development, 67. 957-973. https://doi.org/10.2307/1131873
  59. Zeman, J. & Shipman, K. (1996). Children's expression of negative affect Reasons and methods. Developmental Psychology. 32(5). 843-849.
  60. Zeman, J. & Shipman, K. (1997). Social-contextual influences on expectancies for managing anger and sadness: The transition from middle childhood to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33(9). 917-924. https://doi.org/10.1037/0012-1649.33.6.917
  61. Zeman, J. & Shipman, K. (1998).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children's affect regulati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22. 141-165. https://doi.org/10.1023/A:1022900704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