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Rainfall on the Stability of Mudstone Slope in Consideration of Collapse Record

이암 절취사면의 붕괴이력을 고려한 강우침투에 따른 안정성 분석

  • 전병추 ((주) 성지지반기술) ;
  • 이수곤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영묵 (한밭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정성래 ((주) 성지지반기술)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At the mudstone slope located on the roadside of the Seokri area in Donghae-myeon, Pohang, Gyeongsangbuk-d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ainfall on the stability of slope through seep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cipitation type of the mudstone slope, referring to the actual case of slope failure. For this, precise geological survey, geophysical exploration and drilling survey for the slope where the failure occurred were performed and followed by analysis of detailed soil layer. For the section where failure surface located, the durability reduction of rocks was measured through slaking/swelling tests and the permeability was measured through in-situ permeability tests for each soil layer. In addition, the change of strength parameter and process of instability were analyzed by back analysis, using Talren 97 and Slope/W programs, in the slope. By applying different precipitation conditions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slope that had actual failure records, the slope stability was analyzed by seepage analysis according to duration of rainfall and rise of groundwater level resulting from the flow of rainfall caused by development of geological structures and the slope surface condition.

경상북도 포항시 동해면 석리지역의 국도변에 위치한 이암으로 구성된 사면에서 실제로 발생한 사면붕괴 사례를 중심으로 이암사면의 강우유형에 따른 침투해석을 시행하여 강우가 사면에 미치는 안정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붕괴가 발생한 사면을 대상으로 정밀지표조사, 지구물리탐사 및 시추조사를 수행한 후 상세 지층상태를 분석하고, 붕괴 활동면이 위치하는 구간에 대하여 slaking/swelling시험을 통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파악하고, 현장투수시험을 통해 토층별 투수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한계평형해석 프로그램인 Talren 97을 이용하여 역해석에 의한 강도정수의 변화분석 및 Slop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호우시 침투거동과 강우량에 따른 사면내 수압의 변화에 의한 불안정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실제 붕괴이력을 갖는 사면을 대상으로 지형적인 조건과 서로 상이한 강우조건을 적용하여 사면의 지질구조대 발달 및 사면표면의 상태에 따른 강우침투로 인한 지하수의 상승과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침투해석을 통해 사면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식, 김교원, 정자혜 (2001), "포항분지 제3기 이암의 크리프 특성", 대한지질공학회 2001년 학술발표논문집, pp.3-13
  2. 김영묵 (1990), "강우시 무한사면의 침투거동", 공학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pp.64-136
  3. 김영묵, 전병추, 최성운 (2006), "절토사면 압성토에 설치된 배수층의 효과", 한국지반공학회 사면안정위원회 학술발표회, pp.153-161
  4. 조성은, 이승래 (2000), "강우침투에 따른 불포화 토사사면의 안정해석",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1-64
  5. 정강복, 노기만, 유경한, 이영휘 (2006), "포항지역 이암의 풍화에 따른 강도열화특성",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1124-1127
  6. 구룡포-포항간 4차선 확 . 포장공사 석리지역 비탈면보강 설계보고서 (2005), 포항국도유지관리사업소, pp.50-55
  7. Brooks, R. H., and Corey, A. (1964),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Hydrol. Paper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8. Mein, R. G., and Larson, C. L. (1973), "Model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Water Resour Res., Vol.10, No.4, pp.795-800 https://doi.org/10.1029/WR010i004p00795
  9. Pradel, D., and Raad, G. (1993), "Effect of Permearbility on Surfical Stability of Homogeneous Slopes", Geotech Eng., ASCE, Vol.119, No.2, pp.315-33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3)119:2(315)
  10. Slope/W (1996), "User's Guide for Finite Element Seepage Analysis", Geo-Slope Int. Ltd., Canada
  11. Talren 97 (1997), "User’s Guide", Terrsol Geotechnical Consul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