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Study of Color Changes of Hanbok in Modern Times

현대 착용한복의 색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 Kim, Chan-Ju (Dept. of Fashion & Industry, University of Incheon) ;
  • Hong, Na-Young (Dept. of Fashion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
  • Yu, Hae-Kyung (Dept. of Fashion & Industry, University of Incheon) ;
  • Lee, Ju-Hyeon (Dept. of Clothing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 김찬주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9.02.27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Korean women's traditional costume, Hanbok,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in terms of color coordination of Jeogori and Chima. Photos had been taken at wedding places and streets at 5 major cities(Seoul, Pusan, Kwangju, Daejon, Jeju) at two weekends of each season in 1999, 2001, and 2003. Total 1617 photos were used as final data. Data were analyzed by hue coordination and value level. Hue coordination exist in one-color and two-color coordination. In one-color coordination, red color(R & R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blue green(BG) was the next, and the least was blue purple(BP) for each year. In value scale, high level was the most frequent and followed by middle level and low level. Pink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r one-color coordination. In two-color coordination, white and blue were widely used for Jeogori and red and blue far chima for each year, which seemed to be the basic color coordination for Jeogori and Chima. While there was a certain basic color coordination types across year, but a few new color coordination appeared each year and maintained as popular color coordination for one or two year.

Keywords

References

  1. 이주현, 김찬주, 유혜경, 홍나영. (2001). 현대 한국인의 한복 착용: 아시아 전통 문화 양식의 전개과정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제 3보). 한국의류학회지, 25(1), p. 45
  2. 앞의 글, p. 46
  3. Hurvich, L. M. (1981). Color Vision, Massachusettes: Sinauer Associates Inc.. p. 10
  4. 앞의 글, p. 12
  5. Kobayashi, S. (1987). A Book of Colors. Tokyo: Kodansha International, pp. 80-85
  6. 이영혜, 강순제 (2007). 2000년대 한복에 나타난 배색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 57(4), p. 47
  7. 유희경 외 (1999). 한국 전통복식에 관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 p. 4
  8. 섬유기술진흥원 편 (1990). 대구 섬유 산업사. 섬유기술진흥원
  9. 조미숙 (2003).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0. 이은진 (1999). 해방 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11. 이경자 (1985). 한국복식사론, p. 343
  12. 이은진 (1999). 위의 글, p. 17
  13. 조미숙 (2003).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14. 조미숙 (2003).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0
  15. 이영혜, 강순제 (2007). 위의 글, p. 48
  16. 강경남 (2004). 전통여자한복 구성요소 배색에 관한 색채도구 개발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17. 한국경제 (2001.1.18). 은은한 색상, 소박한 모양새. 맵시 있게 한복 입는 법
  18. 이영혜. 강순제 (2007). 위의 글, p. 59
  19. 한국색채연구소 편 (2006). 색채 1. 서울: (재) 한국색채연구소, p. 20
  20. 김찬주, 유혜경, 이주현, 홍나영 (2001).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9(4). p. 7
  21. 한국색채연구소 편 (2006). Colorlist 기사/산업기사 핵짐정리집. 서울: 지구문화사, p.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