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이후 여자저고리 실물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Color Selection and Arrangement in Relics of Women's Jeogori in Modern Korea

  • 발행 : 2009.02.27

초록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Jeogories in modern times on the changes of its color and coloration over the time. The research wa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produced in modern times ($1890{\sim}2000$) can be categorized into six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s. 1106 women's Jeogories were researched intensively in order to understand them,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When the Chi-Square Test is applied to conduct cross analγsis of the said six periods divided on the basis of relevant theories, it is found that there is just partial difference in the hues in1890-1959 while there has been a big change in the hues of all Jeogories since 1960. It also seems that such a sudden change In hues took place till the end of the 1970s but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distinct changes in hues sin[e the 1980s. As for color tones, high luminosity and low chroma hues were mainly used in all periods, but low luminosity and high chroma hues have been frequently used since the 1960s. It indicates that the long-used conventional and traditional colors gave way to various colors which were freely applied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individualism In the selection of colors as well. As for the coloration, one-color arrangement was predominant in white clothes while the combination of main color Y and supplementary rotor R was overwhelming in two-color arrangement. After the 1960s, not just the five major rotors but diverse colors, including bluish green, dark blue, were used, even varied patterns for lin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순자 (1999). 한국전통복색에 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1), p. 83
  2. 음정선 (2005), 한국과 일본의 전통 색채관과 복색에 관한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9-52
  3. 김영숙 (2004). Computer Graphic을 이용한 시대별 전통복식 색채배색 및 도식화 개발 연구1. 淸大學術論集, 2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p.718
  4. 조효순 (1989).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pp.349-350에 의하면 백색은 흰색계열의 색으로, 이 계열에는 회색, 청백, 유백, 담백 등의 색상이 있었다. 대개 천연 그대로의 직물색인 소색 상태를 보다 세분화해서 표현한 것이다
  5. 김미진 (2006). 한국 근대 색채시각자료에 표현된 한복배색에 관한 연구-회화와 잡지표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13
  6. 이태옥 한국의상 소장
  7.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소장
  8. 이지현, 김영인, 김희연 (2006). 근 . 현대에 있어서 한 . 중 . 일 삼국의 복식색채 특성 비교. 복식, 56(9). 한국복식학회. pp. 98-111
  9. 신문박물관 (2004). 한국의 신문광고 100년 p. 9. 조선일보, 1933년 11월 4일자
  10. 고부자 (2001).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p. 202-203
  11. 신생활복이란 새로운 살림에 입혀질 옷으로 '새 것'이라 개량된 새 시대에 잘 맞는 것을 말한다
  12.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영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현대 패션 100년 1900-2000. 현대패션 100년 편찬위원회. 교문사
  13. 고부자 (2001). 앞의 책, p. 298
  14. 이태옥 (2005).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종적 연구-형태 및 봉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이은진, 홍나영 (2001). 해방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복식, 25(5), 한국복식학회, pp. 868-879
  16. 신혜성, 홍나영 (2003). 해방이후 한복용 단직물의 변천에 관한 연구. 복식, 27(6). 한국복식학회. pp. 715-724
  17. 고부자 (2001).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18. 이태옥 (2005).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증적 연구-형태 및 봉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참조
  19. 회장이란 저고리의 깃 . 끝동 . 겨드랑이 . 고름 등을 색 헝겊을 대는 것을 말한다. 회장에는 반회장(半回裝)과 삼회장(三回裝)이 있으며, 반회장은 깃 . 끝동 . 고름을 색헝겊으로 대는 것이고, 삼회장은 거기에 곁마기를 하나 더 추가하는 것이다
  20. Color techno system Co., Japan의 JX-777 Guide Book
  21. 실물자료의 관찰과 분류 시 1970년대 이후의 자료는 길과 소매 부분의 색채 차이가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측색 부위는 저고리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깃, 길, 소매, 고름, 끝동, 곁마기로 구분하였다
  22. 이호정, 조우현 (2008).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유물의 색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 11. pp. 67-81
  23.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1). 한국복식학회. pp. 5-12
  24.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1). 한국복식학회. pp. 5-12
  25. 조효순 (1998). 조선조 풍속화에 나타난 여자의 기본 복식연구1 :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지, 1(2). p. 24
  26. 고주미 (2000) 패션의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20세기 전반기 한국 패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pp. 48-60
  27. 남윤숙 (2004). 한국현대여생복식제도의 변천과정연구. 복식, 14 단일호. 한국복식학회. pp. 99-119
  28. 한국염색공업협동조합연합회 (2004). 염색가공산업 오십 년사, pp. 86-87
  29. 박길순, 김진구 (1990) 과학기술의 발달이 한국 여성복식의 변화에 미친 영향 1945-1988을 중심으로. 복식, 15. 한국복식학회. p. 115
  30. 색상 명칭은 KS A0011에서의 물체색의 색 이름 구분에 의거함
  31. 김찬주, 홍나영, 유혜경. 이주현 (2001).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20, 39(4), pp.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