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Glam and Punk Make-up - Focused on the 1970s -

글램과 펑크 메이크업의 비교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 정현숙 (부경대학교 디자인학부) ;
  • 정희영 (계명문화대학 뷰티코디네이션학부)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opular music unites people who have different genders, ages, locals, and values. Through the popular music, youth interchange their emotion and create their fashion. Fashion and music formed the twin pillars on which the first historically significant youth sub-culture was built. Glam rock and Punk rock which won popularity in the 1970s influenced the fashion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lam and Punk make-up which appeared as a symbol of the rebel against an older gener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in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materials from the survey through the literature, internet sites, and visual 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face make-up, Glam used a white base to appear cosmic; on the other hand, Punk used a white base to appear pale and horrid. In eye make-up, Glam used black, pink, and blue eye shadow, and accented the eye by using black eye lines. Punk used black eye shadow, and drew black circles or squares around eyes. In lip make-up, Glam used pink, purple, red, and black lip color and silver and pink lip gloss to glitter. Punk used red and black lip color to appear horrid. In body make-up, Glam used glitter powder to appear with a bright skin. Punk drew tattoos and horror patterns in their body. The common themes of Glam and Punk make-up were rebellion, androgyny, and the beauty of ugliness as well as a self-created persona.

Keywords

References

  1. 공차숙 (2002). “하위문화에 나타난 헤어 스타일과 메이크업 분석."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3.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I)-반미학(Anti Aesthetics) 열린 패션(Open Fashion)을 중심으로." 복식 38호.
  4. 김은아 (2000). “글램 스타일의 디자인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미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의 특성-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수진 (2002). “앤드로지너스 룩의 색채 특성-1990년대 후반 컬렉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이자 (2002). “포스트모던 음악의 등장과 민중문화 전통의 재건-1970년대 글램 록과 펑크 록에 대한 신문화사적 해석." 미국사 연구 16호.
  8. 손향미, 박길순 (2005). “현대 펑크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29권 11호.
  9. 엄소희 (1998). “펑크 패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2000). 복식 문화. 서울: 교문사.
  11. 이부영 (1978). 분석 심리학-C. G. Jung의 인간 심성론. 서울: 일조각.
  12. 이현주 (2000). “현대 패션에 나타난 Glam에 관한 연구-David Bowie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애란 (1998). “펑크 록이 반영된 Vivienne Westwood 작품의 기호적 해석." 복식 39호.
  14. 전선정, 안현경, 이귀영, 문윤경 (2004). 미용미학과 미용문화사. 서울: 청구문화사.
  15. 정희영, 정현숙 (2007). “글램과 펑크의 헤어 스타일에 관한 연구-1970년대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5권 5호.
  16. 최미라 (2004).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추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Bond David (2000). 20세기 패션, 정현숙 역. 서울:경춘사.
  18. Mulvey, Kate and Richards Melissa (1998). Decades of Beauty. London: Octopus Publishing Group Ltd.
  19. Polhemus, Ted (1997). Streetstyle. London: Thames & Hudson Ltd.
  20. Royshuker (1999). 대중음악사전, 이정엽, 정호연 역. 서울: 한나래.
  21. Russell, Douglas A. (1983). Costume History and Style. New Jersey: Englewood Cliffs & Co. Inc.
  22. Seeling, Charlotte (2000). Fashion. cologne: Konemann.
  23. Steele, Valerie (1997). Fifty Years of Fashion. New York: Yal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