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ing Subtitle Design of Mobile Broadcast

휴대방송에서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

  • 차현희 (H&M, 한국문화디자인연구소) ;
  • 윤승금 (서울산업대학교 매체공학과) ;
  • 이광직 (서울산업대학교 매체공학과) ;
  • 최성진 (서울산업대학교 매체공학과) ;
  • 이선희 (서울산업대학교 매체공학과) ;
  • 박구만 (서울산업대학교 매체공학과)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the direction for future improvement of broadcast subtitle design by identifying the user perception on broadcast subtitles of Terrestrial DMB. First, we contemplated on the existing research about broadcast subtitle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broadcast subtitle plays an essential role when watching a program and that the minimization of letters, clear fonts and color arrangement, rearrangement of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main factors that increase readability. However, the terrestrial DMB user evaluation on image quality, composition, color and brightness was not that positive. In addition, the evaluation on the readability of broadcast subtitle, information transmission, subtitle composition, letter font, number and size of letter was more negative. Developing a subtitle design which considers user convenience and suits terrestrial DMB screens in aspects of broadcast subtitle form and composition, limit of information, clearness and size of the letter is required.

본 연구는 현재 지상파 DMB의 방송자막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방송자막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청 시 방송자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글자 수의 최소화, 명료성을 높이는 글자체와 색상의 배열, 구성 요소의 재배치가 방송자막의 가독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실제 지상파 DMB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화질, 화면 구성, 색상 및 명암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낮았다. 또한 방송자막의 가독성, 정보의 전달, 자막 구성, 글자체, 글자 수 및 글자 크기 등의 평가에서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방송자막 형태 및 구성, 정보량의 제한, 글자의 선명성 및 크기, 색상 배치 및 선명성 등에서 지상파 DMB 화면에 적합하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고려한 자막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한, 진보래,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의 모바일 미디어," 한국언론학회 모바일콘텐츠 이론 및 제작 연구 발표회 보고서, p. 1, 2004. 09.
  2. 조성선, 문형돈, "통신방송융합: 텔레매틱스와 DMB 서비스 융합 모델," 정보통신연구진흥원IT Insight, p. 34, 2004. 06.
  3. 이기현, "방송자막 사용의 실태와 문제점: 지상파 3사 연예.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진흥원 현안연구, pp. 1-9, 2001. 09.
  4. 주형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생산과 수용에 대한 매체기호학적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 텔레비전의 자막 사용이 갖는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no. 15, pp. 75-115,2000. 10.
  5. 오미아, Text 이동방향이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 소형단말기의 DMB 화면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pp. 12-14, 2006. 02.
  6. 김보경, HDTV 화면의 그래픽에서 글자표현: 방송타이틀과 자막 글자꼴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논문, p. 82, 2006.02.
  7. 정동욱, "TV 그래픽 디자인," 서울미디어, p. 36, 2001. 01.
  8. G. Millerson, The technique of television production, Focal Press, p. 83, July 1985.
  9. N. J. Sambul, The Handbook of Private Television, Mcgraw-Hill Co., pp. 15-19, July 1982.
  10. 한국방송공사, KBS 기술비젼 2010, p. 262, 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