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sign Development of Man's Royal Costume in TV Historical Drama

TV 사극 <이산>의 현대적 감각의 남자 궁중의상디자인 개발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oyal costume design with contemporary taste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hero, Lee San, and time flow of TV historical drama and research design discrimin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As study methods, the literature study using books and theses concerning costume, fine art, culture and history were used for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mpirical study method manufacturing actual costume on the basis of literature and relic were used for dress manufacture. The design concept of costume was modern & chic & clean. Th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straight silhouette, clean & bright colors excluding prime colors, style transformed to permanent straight pleats on the basis of chulik, 100% silk material focusing on high quality and pattern & decoration of the age of Three Kingdoms. As results, the designs of princess' official rob, day dress and chulik, and emperor's official robe, chulik, military dress and chun-dam-bok were developed.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social status change. In the period of princess, black, white, silver and blue were used but in the period of emperor, red, gold and black were used. It was expressed through dragon pattern and extended length used in cloth.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character change was visualized through color. Although it is not consistent with historical investigati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lements were added to royal costume through color contrast of black & white, permanent straight pleats, velcore, wristlet, extended length and layered-look.

Keywords

References

  1.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호.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2. 금기숙 (1990). “朝鮮 服飾美의 探究.” 服飾 14호.
  3. 금기숙 (2004). “전통복식문화의 현대적 활용방법 모색.” 韓國服飾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개관 23주년기념 제22회 학술세미나.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22호.
  4.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5. 김영자 (1998). 복식미학의 이해. 서울: 경춘사.
  6. 김위현 (1994). 국역무예도보통지. 서울: 민족문화사.
  7. 문화관광부․한국복식문화 이천년 조직위원회 (2001). 우리옷 이천년.
  8. 신상일 (1987). “TV 드라마의 主題와 小才에 관한 分析的 考察.” 방송연구 21호.
  9. 신경섭 박혜원 (2000). “영상산업과 패션산업의 시각에서 본 1990년대 영화 의상의 이미지 연구.” 服飾 50권 3호.
  10. 원혜은 (2004). “사극 드라마 의상 제작에 관한 연구: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봉학 (2001). 정조대왕의 꿈-개혁과 갈등의 시대. 서울: 신구문화사.
  12. 유송옥 (1986). “儀軌圖의 繪畵的 特徵과 그에 나타난 宮中服飾.” 服飾 10호.
  13. 유송옥 (1991).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14.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1996).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15. 유송옥 (1998). 韓國服飾史. 서울: 수학사.
  16. 유은희 (1993). “韓國의 白衣象徵에 관한 硏究.” 服飾 20호.
  17. 유희경 (1980).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삼성인쇄주식회사.
  18. 이금희, 남궁윤선 (2008). “TV 사극 변천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변화와 가치분석: MBC 사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권 11호.
  19. 조효순 (1981). “正朝의 顯陵園 幸次時 宮中 儀禮 服飾考: 整理儀軌를 中心으로.” 服飾 5호.
  20. 주창윤 (2004).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23권 2호.
  21. 주창윤 (2004). “역사드라마의 역사 서술 방식과 장르 형성.” 한국언론학보 49권 1호.
  22. 주창윤 (2005). “역사드라마의 장르와 유형 변화.” 한국언어문화 28집.
  23. 최혜율 (2007). “영상물 제작을 위한 고증의상디자인 연구: 13-14세기 고려양과 몽골 풍의 귀부녀 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7권 1호.
  24. 한영우 (2002). 왕조의 르네상스 정조의 화성행차 28일. 서울: 효형출판.
  25. 홍나영 (2008).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26. Horn, Marilyn J. and Lois M. Gurel (1981). 의복: 제 2의 피부. 이화연 외 역. 서울: 까치.
  27.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009년 2월 15일 검색]. “정조” [온라인게시판];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people.aks.ac.kr/index.jsp
  28. 文化公報部 文化財 管理局. 朝鮮時代 宮中服飾. 高麗書籍株式會社.
  29. 文化公報部 文化財 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高麗書籍株式會社.
  30. 宣祖實錄 券一百二十, 四十年 四月條.
  31.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2儀註.
  32. 整理儀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