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Ernst E. The usage of complementary therapies by dermatological patients: a systemic review. Br J Dermatol. 2000;142:857-861. https://doi.org/10.1046/j.1365-2133.2000.03463.x
- Rajka G, Langeland T. Grading of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Acta Derm Venereol suppl(Stockh). 1989;144:13,14.
- 진현우 등.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대체 의학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7):903-911.
- 최오호. 우리나라의 대체의학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경기대학교 대체의학 대학원. 2005.
- Mary AR et al.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use in a comprehensive cancer center and the implications for oncology. J Clin Oncol. 2000;18:2505-2514. https://doi.org/10.1200/JCO.2000.18.13.2505
- 김향자. 의대생과 한의대생의 보완대체의료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 대한부인과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서울:정담. 2001.
- O'conor LJ, Gourley RJ. Obstetric and gynecologic care in physical therapy. Thorofare NJ: SLACK Incorporated. 1990.
- Dawood MY. Dysmenorrhea. J Reprod Med. 1985;30(3):154-167.
- 현진숙. 아로마테라피가 여생도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03;22:55-61.
- 노경호. 테이핑 요법이 간호사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대학원. 2006.
- Jadad AR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 Clin Trials. 1996;17(1):1-12. https://doi.org/10.1016/0197-2456(95)00134-4
- AAP SCQIM. Policy Statement. Classifying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ediatrics. 2004;114:874-877. https://doi.org/10.1542/peds.2004-1260
- 조정훈. 원발성 생리통에 대한 계지복령환 단독치료와 침치료 병행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1):161-168.
- 정경근. 월경통의 사암침 치료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 Witt CM et al. Acupuncture in patients with dysmenorrhea: a randomized study on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in usual care. Am J Obstet Gynecol. 2008;198(2):166e1-8. https://doi.org/10.1016/j.ajog.2007.07.041
- Chen HM, Chen CH. Effects of acupressure at the Sanyinjiao point on primary dysmenorrhea. J Adv Nurs. 2004;48(4):380-38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236.x
- 장소영 등. 자하거약침의 월경통에 대한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22(6) :85-92.
- 육상숙, 임은미. 침-한약의 교차 치료가 원발성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44-152.
- 전은미. 삼음교(SP-6)지압이 여대생의 월경통, 하복부 곡골혈(CV2) 피부온도와 체온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4;34(7):1343-1350.
- Wang L et al. Vitamin K Acupuncture Point Injection for Severe Primary Dysmenorrhea: An International Pilot Study. Medscape. 2004;6(4):45.
- 이인숙. 뜸요법이 생리통과 월경곤란증 및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1):39-49.
- 장영심. 고려수지요법이 여대생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 주병주 등. 체침치료가 청소년기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즉각적인 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232-241.
- 김봄님 등. 월경통에 대한 전침의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138-146.
- 김호진. 복부 뜸요법이 여대생의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 고경실. 월경통 및 월경전후증상에 있어 특성분석과 이혈 패치(Patch) 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 신경림 등. 수지뜸이 여성의 월경통 완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04;16(2):256-263.
- Habek D et al. Efficacy of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Gynakol Geburtshilfliche Rundsch. 2003;43(4):250-253. https://doi.org/10.1159/000072730
- 엄윤경 등. 여고생의 월경통에 대한 이침의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21(3):121-136.
- 유화승 등. 자하거약침의 월경통에 대한 치료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5; 8(1):45-49.
- 문창경. 수지침 요법이 여중생의 생리통 자각증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Lan Lan Liang Yeh et al.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Formula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PLoS ONE. 2007;2(8):71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0719
- Nobutaka Suzuki et al.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Significantly Lowers the Requirement for Analgesic Medication in Dysmenorrhea. J Reprod Med. 2008;53(5):338-346.
- 윤영진 등. 칠제향부환이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복부 및 수장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6;5(1):46-58.
- Kennedy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remedy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Fertility and Sterility. 2006;86(3):762-764.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6.02.092
- Svetlana Vladislavovna Doubova et al. Effect of a Psidii guajavae folium extract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J Ethnopharmacol. 2007;110:305-310. https://doi.org/10.1016/j.jep.2006.09.033
- Nazar H, Usmanghani K. Clinical Evaluation to Assess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ded Herbal Medicine "Dysmo-off" versus Allopathic Medicine "Diclofenac Sodium"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J Herb Pharmacother. 2006;6(1):21-39.
- Tseng YF et al. Rose Tea for Relief of Primary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aiwan. J Midwifery Women's Health. 2005;50(5):e51-57. https://doi.org/10.1016/j.jmwh.2005.06.003
- Modaress Nejad V, Asadipour M.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fennel and mefenamic acid on pain intensity in dysmenorrhea. East Mediterr Health J. 2006;12(3-4): 423-427.
- 남은정 등. 계지복령환 제제의 원발성 월경통에 대한 임상적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5):1364-1368.
- 김미진 등. 한냉증상과 냉대하를 겸한 여고생 월경통에 대한 주자당귀환의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5;4(1):1-14.
- 최가야 등. 계지복령환의 생리통 환자에 대한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78-186.
- 장준복 등. 칠제향부환제제의 원발성 월경통에 대한 임상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156-168.
- 이인선 등. 소음인 곽향정기산가미방을 투여한 월경통 환자 20예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168-183.
- Kohama T et al. Analgesic Efficacy of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in Dysmenorrhea. J Reprod Med. 2004;49(10):828-832.
- 이인선, 문덕빈. 가미십전탕으로 치료한 경후통 2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 :209-218.
- Holtzman DA et al. Prospective Case Series on the Effects of Lumbosacral Manipulation on Dysmenorrhea. J Manipulative and Physiol Ther. 2008;31(3):237-246. https://doi.org/10.1016/j.jmpt.2008.02.005
- 김정순 등. 복부 경락마사지가 직장 여성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5;35(7) :1325-1332.
- 정명숙. 하체경락마사지가 생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인 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 김주연. 여대생의 섭식양상 및 혈액성상조사와 발 반사 마사지가 월경 전증후군 완화에 미치는 효과.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 이정혜. 요추 천추경락마사지와 적외선이 여성들의 월경 증후군 완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 SCHIOTZ HA et al. Treatment of dysmenorrhoea with a new TENS device(OVA). J Obstet Gynecol. 2007;27(7):726-728. https://doi.org/10.1080/01443610701612805
- Han SH et al. Effect of Aromatherapy on Symptoms of Dysmenorrhea in College Student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J Altern Complement Med. 2006;12(6) :535-541. https://doi.org/10.1089/acm.2006.12.535
- 백훈정. 아로마테라피의 월경주기불편감에 대한 효과와 프로스타글란딘 과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 편주리. 아로마오일 Fennel(Foeniculum vulgare)의 원발성 월경곤란증에 대한 효과.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 의학대학원. 2003.
- 이혜진 등. 아로마 오일과 일반 오일을 이용한 복부마사지가 간호사의 월경곤란증과 생리통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06;11(2):121-133.
- 조소은. 아로마 요법의 자가 적용이 여성의 월경통과 월경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4.
- 이광옥. 쑥좌훈이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 김은애. 투어마린(tourmaline) 보석 요법이 여대생의 월경곤란증, 월경 통증 및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정경애 등. 월경통이 있는 일반 대학생의 요가요법에 관한 연구. 춘해대학논문집. 2003;15(1):113-128.
- 윤영진 등. 월경통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under inner-wear의 유용성 평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29-136.
- http://nccam.nih.gov/halth/whatiscam/ index.htm
- Tindle HA et al. Trends in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US adults: 1997-2002. Altern ther health med. 2005;11(1):42-49.
- Maclennan AH et al. The escalating cost and prevalence of altermative medicine. Prev med. 2002;35(2):166-173. https://doi.org/10.1006/pmed.2002.1057
- Fisher P, Ward A. Complementary medicine in Europe. BMJ. 1996;309:107-111.
- Bygdeman M. Effects of the prostaglandins on the uterus. Prostaglandins and uterine contractility. Acta Obstet Gynecol Scand Suppl. 1979;87:33-38.
- 유심근. 월경통의 침구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 원광한의학. 1999;5(1): 118-124.
- 전은현. 일부알레르기질환 경험자들의 보완대체의학 이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 김상수. 마사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1998.
- 하병조. 아로마테라피. 서울:수문사. 2000.
- 한선희 등. 아로마테라피가 생리통이 있는 여대생의 월경 중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1;13(3):420-430.
- 이상호. 테이핑이 편마비로 인한 어깨통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2000.
- 허준. 사전식동의보감. 한국사전연구사. 1997.
- 최무웅. Tourmaline 특성을 이용한 기능수 생산. 대한 지리학회 학술 대회. 2002;49,50.
- 최준호, 소광섭. 적외선의 의용 물리학적 특성 및 활용.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0;4(1):16-18.
- 김용석. 원적외선의 한의학적 활용과 진단적 가치. 한일원적외선SYMPOSIUM. 2001;7: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