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월경통의 보완대체의학적 치료에 관한 논문 연구

Systematic Review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Dysmenorrhea

  • 유성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윤인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김영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성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기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한백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Ryu, Sung-Won (Department of Oriental Obstetric &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Youn, In-Hwan (Department of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Youn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Seoung-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Key-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Cho, Han-Baek (Department of Oriental Obstetric &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발행 : 2009.02.27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ically clinical trials on the trends of studies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Methods: Through medical websites, foreign clinical literature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of dysmenorrhea were searched. And domestic clinical literatures about dysmenorrhe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 an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ere searched using internet websites or hand-searching in National digital library, National assembly library, KISS, RISS. And then they were assessed by the assessment standard of Jadad scale and Classifying Recommendations. Results: 1. 15 foreign literatures and 36 domestic literatures were selected. 2. 4 foreign and 4 domestic clinical literatures were enough to satisfy over 2 points in Jadad score and recommendation level in Classifying Recommendations. 3. Some clinical trials were rated low in Jadad score since it was not easy to set control groups and keep blinding in clinical trials. 4. Some clinical trials were rated low in Classifying Recommendations since they did not carry out enough study about stability, side effect and follow-ups. Conclusion: To put clinical trials to practical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scientific and objective-based studies should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Ernst E. The usage of complementary therapies by dermatological patients: a systemic review. Br J Dermatol. 2000;142:857-861. https://doi.org/10.1046/j.1365-2133.2000.03463.x
  2. Rajka G, Langeland T. Grading of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Acta Derm Venereol suppl(Stockh). 1989;144:13,14.
  3. 진현우 등.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대체 의학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7):903-911.
  4. 최오호. 우리나라의 대체의학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경기대학교 대체의학 대학원. 2005.
  5. Mary AR et al.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use in a comprehensive cancer center and the implications for oncology. J Clin Oncol. 2000;18:2505-2514. https://doi.org/10.1200/JCO.2000.18.13.2505
  6. 김향자. 의대생과 한의대생의 보완대체의료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7. 대한부인과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서울:정담. 2001.
  8. O'conor LJ, Gourley RJ. Obstetric and gynecologic care in physical therapy. Thorofare NJ: SLACK Incorporated. 1990.
  9. Dawood MY. Dysmenorrhea. J Reprod Med. 1985;30(3):154-167.
  10. 현진숙. 아로마테라피가 여생도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03;22:55-61.
  11. 노경호. 테이핑 요법이 간호사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대학원. 2006.
  12. Jadad AR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 Clin Trials. 1996;17(1):1-12. https://doi.org/10.1016/0197-2456(95)00134-4
  13. AAP SCQIM. Policy Statement. Classifying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ediatrics. 2004;114:874-877. https://doi.org/10.1542/peds.2004-1260
  14. 조정훈. 원발성 생리통에 대한 계지복령환 단독치료와 침치료 병행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1):161-168.
  15. 정경근. 월경통의 사암침 치료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16. Witt CM et al. Acupuncture in patients with dysmenorrhea: a randomized study on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in usual care. Am J Obstet Gynecol. 2008;198(2):166e1-8. https://doi.org/10.1016/j.ajog.2007.07.041
  17. Chen HM, Chen CH. Effects of acupressure at the Sanyinjiao point on primary dysmenorrhea. J Adv Nurs. 2004;48(4):380-38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236.x
  18. 장소영 등. 자하거약침의 월경통에 대한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22(6) :85-92.
  19. 육상숙, 임은미. 침-한약의 교차 치료가 원발성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44-152.
  20. 전은미. 삼음교(SP-6)지압이 여대생의 월경통, 하복부 곡골혈(CV2) 피부온도와 체온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4;34(7):1343-1350.
  21. Wang L et al. Vitamin K Acupuncture Point Injection for Severe Primary Dysmenorrhea: An International Pilot Study. Medscape. 2004;6(4):45.
  22. 이인숙. 뜸요법이 생리통과 월경곤란증 및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1):39-49.
  23. 장영심. 고려수지요법이 여대생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24. 주병주 등. 체침치료가 청소년기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즉각적인 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232-241.
  25. 김봄님 등. 월경통에 대한 전침의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138-146.
  26. 김호진. 복부 뜸요법이 여대생의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27. 고경실. 월경통 및 월경전후증상에 있어 특성분석과 이혈 패치(Patch) 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8. 신경림 등. 수지뜸이 여성의 월경통 완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04;16(2):256-263.
  29. Habek D et al. Efficacy of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Gynakol Geburtshilfliche Rundsch. 2003;43(4):250-253. https://doi.org/10.1159/000072730
  30. 엄윤경 등. 여고생의 월경통에 대한 이침의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21(3):121-136.
  31. 유화승 등. 자하거약침의 월경통에 대한 치료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5; 8(1):45-49.
  32. 문창경. 수지침 요법이 여중생의 생리통 자각증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3. Lan Lan Liang Yeh et al.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Formula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PLoS ONE. 2007;2(8):71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0719
  34. Nobutaka Suzuki et al.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Significantly Lowers the Requirement for Analgesic Medication in Dysmenorrhea. J Reprod Med. 2008;53(5):338-346.
  35. 윤영진 등. 칠제향부환이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복부 및 수장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6;5(1):46-58.
  36. Kennedy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remedy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Fertility and Sterility. 2006;86(3):762-764.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6.02.092
  37. Svetlana Vladislavovna Doubova et al. Effect of a Psidii guajavae folium extract in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J Ethnopharmacol. 2007;110:305-310. https://doi.org/10.1016/j.jep.2006.09.033
  38. Nazar H, Usmanghani K. Clinical Evaluation to Assess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ded Herbal Medicine "Dysmo-off" versus Allopathic Medicine "Diclofenac Sodium"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J Herb Pharmacother. 2006;6(1):21-39.
  39. Tseng YF et al. Rose Tea for Relief of Primary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aiwan. J Midwifery Women's Health. 2005;50(5):e51-57. https://doi.org/10.1016/j.jmwh.2005.06.003
  40. Modaress Nejad V, Asadipour M.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fennel and mefenamic acid on pain intensity in dysmenorrhea. East Mediterr Health J. 2006;12(3-4): 423-427.
  41. 남은정 등. 계지복령환 제제의 원발성 월경통에 대한 임상적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5):1364-1368.
  42. 김미진 등. 한냉증상과 냉대하를 겸한 여고생 월경통에 대한 주자당귀환의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5;4(1):1-14.
  43. 최가야 등. 계지복령환의 생리통 환자에 대한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78-186.
  44. 장준복 등. 칠제향부환제제의 원발성 월경통에 대한 임상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156-168.
  45. 이인선 등. 소음인 곽향정기산가미방을 투여한 월경통 환자 20예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2):168-183.
  46. Kohama T et al. Analgesic Efficacy of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in Dysmenorrhea. J Reprod Med. 2004;49(10):828-832.
  47. 이인선, 문덕빈. 가미십전탕으로 치료한 경후통 2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 :209-218.
  48. Holtzman DA et al. Prospective Case Series on the Effects of Lumbosacral Manipulation on Dysmenorrhea. J Manipulative and Physiol Ther. 2008;31(3):237-246. https://doi.org/10.1016/j.jmpt.2008.02.005
  49. 김정순 등. 복부 경락마사지가 직장 여성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5;35(7) :1325-1332.
  50. 정명숙. 하체경락마사지가 생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인 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51. 김주연. 여대생의 섭식양상 및 혈액성상조사와 발 반사 마사지가 월경 전증후군 완화에 미치는 효과.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2. 이정혜. 요추 천추경락마사지와 적외선이 여성들의 월경 증후군 완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53. SCHIOTZ HA et al. Treatment of dysmenorrhoea with a new TENS device(OVA). J Obstet Gynecol. 2007;27(7):726-728. https://doi.org/10.1080/01443610701612805
  54. Han SH et al. Effect of Aromatherapy on Symptoms of Dysmenorrhea in College Student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J Altern Complement Med. 2006;12(6) :535-541. https://doi.org/10.1089/acm.2006.12.535
  55. 백훈정. 아로마테라피의 월경주기불편감에 대한 효과와 프로스타글란딘 과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56. 편주리. 아로마오일 Fennel(Foeniculum vulgare)의 원발성 월경곤란증에 대한 효과.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 의학대학원. 2003.
  57. 이혜진 등. 아로마 오일과 일반 오일을 이용한 복부마사지가 간호사의 월경곤란증과 생리통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06;11(2):121-133.
  58. 조소은. 아로마 요법의 자가 적용이 여성의 월경통과 월경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4.
  59. 이광옥. 쑥좌훈이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60. 김은애. 투어마린(tourmaline) 보석 요법이 여대생의 월경곤란증, 월경 통증 및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61. 정경애 등. 월경통이 있는 일반 대학생의 요가요법에 관한 연구. 춘해대학논문집. 2003;15(1):113-128.
  62. 윤영진 등. 월경통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under inner-wear의 유용성 평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29-136.
  63. http://nccam.nih.gov/halth/whatiscam/ index.htm
  64. Tindle HA et al. Trends in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US adults: 1997-2002. Altern ther health med. 2005;11(1):42-49.
  65. Maclennan AH et al. The escalating cost and prevalence of altermative medicine. Prev med. 2002;35(2):166-173. https://doi.org/10.1006/pmed.2002.1057
  66. Fisher P, Ward A. Complementary medicine in Europe. BMJ. 1996;309:107-111.
  67. Bygdeman M. Effects of the prostaglandins on the uterus. Prostaglandins and uterine contractility. Acta Obstet Gynecol Scand Suppl. 1979;87:33-38.
  68. 유심근. 월경통의 침구치료에 대한 문헌적 고찰. 원광한의학. 1999;5(1): 118-124.
  69. 전은현. 일부알레르기질환 경험자들의 보완대체의학 이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70. 김상수. 마사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1998.
  71. 하병조. 아로마테라피. 서울:수문사. 2000.
  72. 한선희 등. 아로마테라피가 생리통이 있는 여대생의 월경 중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1;13(3):420-430.
  73. 이상호. 테이핑이 편마비로 인한 어깨통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2000.
  74. 허준. 사전식동의보감. 한국사전연구사. 1997.
  75. 최무웅. Tourmaline 특성을 이용한 기능수 생산. 대한 지리학회 학술 대회. 2002;49,50.
  76. 최준호, 소광섭. 적외선의 의용 물리학적 특성 및 활용.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0;4(1):16-18.
  77. 김용석. 원적외선의 한의학적 활용과 진단적 가치. 한일원적외선SYMPOSIUM. 2001;7: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