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on the relation of Uterine myoma focusing on General symptom

일반 증상을 중심으로 한 자궁근종 관련성에 대한 예비 연구

  • 윤영진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Published : 2009.02.27

Abstract

Purpose: We intended to observe relation between general symptom and the number of uterine myoma. Methods: We surveyed 948 women from 35 to 45 years old who had received Korean oriental medical questionnaires about general symptom pattern and pelvic ultrasonography at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May, 2007 to October, 2008. After we divided women into three groups (Mono-uterine myoma, Bi-uterine myoma & uterine myoma above 3) by ultrasonography result, we compared general symptom pattern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 For statistics, we used Kruskal-Wallis Test, SPSS 13.0 for windows. Results: In relation to sleep pattern, severity of dreaming & awak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 In relation to digestion pattern, appetite & heartbur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 In relation to evacuation pattern, hardening of stool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 In relation to sweating pattern, severity of refreshing after sweat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 In relation to the other patterns, hypertonicity of nape neck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terine myoma(p<0.05).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prevalence of uterine myoma had to be considered in respect of sleep, digestion, evacuation and sweating pattern. we need further study based on this preliminary result.

Keywords

References

  1.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上). 서울:정담. 2002;303-313.
  2.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3판. 서울:칼빈서적. 1997;175-183.
  3. 위효선 등. 자궁근종 환자 4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1):272-285.
  4. Evans P, Brunsell S. Uterine fibroid tumors: diagnosis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07;75(10):1503-1508.
  5. Soules MR, McCarty KS Jr. Leiomyomas: steroid receptor content. Variation within normal menstrual cycles. Am J Obstet Gynecol. 1982;143(1):6-11. https://doi.org/10.1016/0002-9378(82)90676-7
  6. Parker WH. Etiology, symptomatology, and diagnosis of uterine myomas. Fertil Steril. 2007;87(4):725-736.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7.01.093
  7.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2판. 서울:행림출판. 1998;252-259.
  8. 배은경, 이경섭, 송병기. 子宮筋腫의 韓醫學的 接近.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4;7(1):79-86.
  9. 이경섭, 송병기. 癥瘕治方에 關한 文獻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82;5(2): 54-62.
  10. 이인호 등. 桂枝茯苓丸이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 12-24.
  11. 김소연, 백승희. 膈下逐瘀湯이 子宮筋腫細胞의 增殖과 MAP kinase 活性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 1-16.
  12. 전미혜 등. 五積散이 子宮筋腫細胞의 死滅과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 56-67.
  13. 김윤근 등. 蟠葱散이 子宮筋腫細胞의 死滅과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 34-44.
  14. 김석중 등. 七製香附丸이 자궁근종세포의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 :25-42.
  15. 문나영, 김동철, 백승희. 血府逐瘀湯 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186-198.
  16. 백승희, 김동철. 失笑散이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억제와 MAP kinase 활성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 29-42.
  17. 이화경, 김동철, 백승희. 鷄血藤이 子宮筋腫細胞의 增殖抑制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135-149.
  18. 이수진, 김동철, 백승희. 益母草가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1-12.
  19. 김동철 등. 香附子가 子宮筋腫細胞의 成長抑制와 MAP kinase 活性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18-33.
  20. 이희재, 김동철, 백승희. 玄胡索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214-225.
  21. 정병천 등. 魚腥草가 자궁근종 세포의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3):1-12.
  22. 박정규 등.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통 계학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5;48(2):436-445.
  23. Flake GP, Andersen J, Dixon D.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uterine leiomyomas: a review. Environ Health Perspect. 2003;111(8):1037-1054.
  24. 오재성 등. 자궁적출술후 시간경과에 따라 발현되는 증상의 양상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3):97-106.
  25. 이인선 등. 자궁근종 원인에 대한 DSOM 변수의 연관성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59-173.
  26. 엄윤경, 이인선, 김규곤. 자궁근종을 가진 환자의 증상지표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2):109-122.
  27. 김흥수 등.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환자에서 과다월경 증상 유무에 따른 MMPI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