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the status quo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 조사 연구

  • 이병욱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계.금속공학교육과 교수)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opose methods through which more a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can be stimulated. The methods chosen for this study are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mposing complete enumeration on the targeted high schools that specialize in industry related fields. The survey targets were the directions of academic affairs, the directions of practical affairs, and the director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ach school.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having opportunities to gain specific skills in different industrial fields, having chances to get stable employment, and securing the industrial institution'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ustomized nurturing and supply of human resources as the primary goals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cond, the teachers express the similar opinion that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ir current system is inappropriate to achieve their goals. Third, the teachers claim that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emphasizes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on must be developed and managed. Fourth, it was found that when schools plan their educational curriculum, they often do not implement the requests from industrial institutions. Fifth, major educational program implement methods that meet the requests of the industrial institutions include field trips or the introduction of other field-base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s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nvit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personnel as teachers to school environments. Sixth,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proactively seek companies for cooperation; they need to support, develop, and manage school programs that are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finally, institutions need to enthusiastically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s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that are founded up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venth, the enforcement of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benefit of diversify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pursuit of balancing the specialized curriculum through shedding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provided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amendments on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effe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the vital factors that can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within high schools specializing in industry and that are closely related to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를 조사하고,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이다. 설문 조사는 공업계 고교를 모집단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은 각 학교의 교무부장, 실과장, 그리고 교육과정 관련 업무를 교무부장이 담당하지 않는 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담당부장도 응답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의 목적에 대하여 교사들은 산업현장 맞춤형 직업교육의 기회 제공, 공업계 고교 졸업생의 안정적 직업세계의 진출 확보, 맞춤형 인력의 양성과 공급을 통한 산업체의 경쟁력 확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와 산업체간의 산학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이 강조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공업계 고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 반영 정도에 대하여 공업계 고교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를 잘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주된 교육과정 운영 방법으로는 산업체 현장실습 및 현장 체험 학습 운영, 산학협력에 의한 맞춤식 교육과정 개발 적용, 산업체 인사 참여에 의한 산학겸임교사 제도 운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학교 교육 영역에서 노력해야 할 사항은 산학협력 대상 기업체 적극 발굴, 산학협력에 기반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 노력, 그리고 정부의 산학협력 기반의 직업교육 정책 사업 적극 참여로 나타났다. 일곱째, 산학협력과 관련하여 공업계 고교 교육과정 선진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위한 선택중심 교육과정 강화, 보통교과 중심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체제 탈피를 통한 전문교과와의 균형성 추구, 원활한 산학협력을 위해 국가수준상의 관련 지침 개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훈․김영상․정향진(1998).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국방부(2009). ‘09년 군 특성화 고등학교 운영
  3. 국제지식재산연수원(2008). 2009년 발명․특허 특성화고 지원 계획
  4.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2008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5. 김재식 외(1998). 학교와 산업체간 지식/기술 확산·공유를 위한 산학협력 정책에 관한 연구. 교육부
  6. 나승일 외(2009).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7. 이무근(2001). 직업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8. 정지선․김수원(2005). 인적자원개발중심의 산학협력 체제 구축-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중소기업청(2009). 특성화전문계고 육성 사업 2009년도 기본운영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