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al Dyeing of Hanji with Alnus japonica Fruit Extractive

오리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한지의 천연염색

  • Choi, Tae-Ho (Dept. of Forest Produc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oo, Seung-Il (Dept. of Forest Produc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yun (Dept. of Forest Produc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ee-Won (Dept. of Forest Produc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Eun-J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최태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 유승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 이상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 정희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 양은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화재과학과)
  • Received : 2009.06.09
  • Accepted : 2009.06.28
  • Published : 2009.07.25

Abstract

We dyed traditional Korean hand-made papers (Hanji) with colorants extracted from fruits of Alnus japonic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dyeing factors (mordant, dye concentration and dyeing assistant) on colors, K/S values and light fastness of the dyed Hanji. The dyed hanji had brown color. The K/S value of dyed Hanji was increased by mordanting with alum and copper acetate. $a^*$ and $b^*$ value of dyed Hanji was decreased slightly by mordanting with alum and Iron(II) chloride. The K/S value and $b^*$ of dyed Hanji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dye, but $L^*$ value of dyed Hanji decreased. The K/S value of dyed Hanji was also increased by fixing agent. When Hanji was mordanted with Iron(II) chloride and was not mordanted, use of fixing agent resulted in greater increase of K/S value. Use of fixing agent resulted in poor light fastness. When fixing agent was used, mordanting with copper acetate resulted in smaller color difference than mordanting with alum after aging test.

오리나무 열매 추출물을 사용하여 한지를 염색하여 매염제, 염액의 농도, 염색보조제가 색한지의 색과 염착량, 광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한 색한지는 갈색을 나타냈으며 매염제를 사용하면 염화철과 초산구리의 경우 염착량이 증가하였고, 명반과 염화철 매염의 경우 $a^*$$b^*$ 값이 조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변화 크기는 작았다. 염액의 농도가 증가하면 염착량이 증가하였고 $L^*$ 값은 작아져서 색이 약간 어두워지고, $b^*$ 값은 커져서 노란색을 더 많이 띠었다. 염착제를 사용하면 염색성이 크게 향상되며 명반과 초산구리 매염한 경우보다 무매염과 염화철 매염한 한지에서 염색성의 향상이 더 컸다. 가속열화시험 결과 염착제를 사용한 색한지의 퇴색정도가 무처리 색한지보다 더 컸는데, 그 중 초산구리 매염을 한 색한지의 퇴색이 가장 작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

References

  1. 남성우. 2000. 천연염색의 이론과 실제(1). 보성문화사. pp. 38∼39
  2. 설정화, 최석철, 조경래. 1995. 견의 탄닌처리에 관한 연구(Ⅲ)-축합형 탄닌과 가수분해형 탄닌의 비교-. 한국염색가공학회지. 7(3): 60∼67
  3. 손보현, 장지혜. 2002. 오리나무 열매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2): 109∼118
  4. 송정주, 한종철. 1998. 견본 회화의 1차 배접. 호암미술관 보존과학연구. 41$\sim$50
  5. 전철, 안영환, 전흥자. 2006. 천연염료를 이용한 한지염색에 관한 연구(Ⅳ)-정향나무를 중심으로-. 펄프종이기술. 38(3): 66∼71
  6. 최석철, 김미숙. 1998. 오리나무 열매 추출액에 의한 견및 면의 염색성. 한국섬유공학회지. 35(3): 161∼173
  7. 최태호. 2006. 전통한지의 천연염색 특성. 목재공학. 34(3): 90∼98
  8. 山崎靑樹. 1985. 草木染 染料植物図鑑. 美術出版社. pp.182∼183, 224∼225
  9. Skoog, D. A., F. J. Holler, and T. A. Nieman. 1998.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5th Edition. Harcourt Brace & Company. pp. 334∼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