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f the recognition on the problem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학교교육의 촌지문제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 Received : 2009.03.25
  • Accepted : 2009.06.04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Although the problem about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is restricted by small number of teachers, it must be solved for normal and good schoo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 about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an extent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seriousness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the experience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an amount of money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the time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a compensation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using a questionnaire to 549 parents. And a Chi-square test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This study indicates that many parents recognize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as money or gift certificate. And most parents recognize different significantly about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according to teachers' sex, ages, level of school, and type of school. We do not need a vast and experimental revolution in education based on unproved reasoning. If we want to be normal and good schooling, we have to make an effort small changes which solve a problem of a token of parents' gratitude. Our educational policies have to move from vast approaches generated from 'above' with political purpose to more particular approaches based on specific problems and generated by the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공무원법" 제10조의3 '채용의 제한'
  2. "국가공무원법" 제61조 '청렴의 의무'
  3. 강선정(2005).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불안정도에 관한 조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4. 고재원(2007).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심사 결정 경향 분석:"국가공무원법" 제63조(품위유지의무)위반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달효(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급식 및 청소 문화, 아시아교육연구, 6(1). 83-103
  6. 김달효(2006). 교육학개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7. 김대용(2000). 학교교육의 황폐화와 언론의 책임, 현상과 인식, 24(1), 109-140
  8. 대구지방법원 판례 1999.11.10. 99고합504
  9. 부정방지대책위원회(1998). 초.중등학교 부조리 실태 및 방지대책, 서울: 감사원
  10. 손희권(2007). 학교촌지 수수의 법적 문제: 관련법안의 헌법적합성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5(1), 165-183
  11. 여인순(1998).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촌지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이명준(1999). 한국교육의 부조리 현상에 대한 윤리적 분석, 한국부패학회보, 3(1), 91-108
  13. 이정훈(2004). 학교갈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2(2), 1-21
  14. 정진환(2003).교사의 교직 윤리, 이종재 외(편).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15. 최성욱(1995). 학부모 촌지, 한국논단, 74(1), 130-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