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림 변천:추이, 특징 및 함의

Forest Transition in Korea:Trend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과)
  • Bae, Jae Soo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09.08.07
  • 심사 : 2009.10.22
  • 발행 : 2009.12.31

초록

1927-2007년간 우리나라 산림변천의 추세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림면적 및 임목축적으로 대표되는 산림자원 통계와 인구자료를 재구성하였다. 평균 임목축적을 기준으로 할 경우, 우리나라 산림변천은 산림황폐기(1927-1952), 산림정체기(1953-1972), 산림성장기(1973~2007)로 유형화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산림면적은 연평균 0.05% 감소하였다. 60% 이상의 높은 산림률을 유지한 국가로서 급격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를 고려한다면 그리 큰 산림감소라 할 수는 없다. ha 당 임목축적은 1952년 $5.6m^3$에서 2007년에는 $97.8m^3$로 17.5배 증가하였다. 특히,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1인 당 임목축적은 같은 기간 $1.7m^3$에서 $12.9m^3$로 7.4배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무립목지는 331.5만ha에서 16.5만ha로 감소하였다. 50년 이상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산림면적의 큰 감소 없이 무립목지가 감소하고 평균 임목축적이 계속 증가한 우리나라는 근대적 산림성장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990~2005년간 인구 1천만 명 이상, 산림률 10% 이상인 56개 국가 중 한국은 산림률이 높으면서도 산림전용이 매우 낮은 국가로 분류되었다. 특히 산림률이 50% 이상인 국가 중 산림감소가 평균 이하인 유일한 개도국이었다.

Time series data on forest resources and population over the period from 1927 to 2007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transition in Korea. Korean forest transi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in terms of the average annual growing stock of forest; forest degradation period (1927-1952), forest stagnation period (1953-1972) and forest growth period (1973-2007). Over the past 80 years forest area decreased 0.05% each year. The decreasing rate was very low, especially considering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population of Korea with over 60% of forest cover. Growing stock per hecta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6m^3$ in 1952 to $97.8m^3$ in 2007, or 17.5 times during 1952 to 2007. Despise of increasing popul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growing stock per capita has increased from $1.7m^3$ in 1952 to $12.9m^3$ in 2005 and un-stocked forest area decreased from 3,315 thousand ha to 165 thousand ha during the same period. In this regard, Korea represents a case of modern forest growth. Among 56 countries with more than 10 million of population and 10% or more of forest cover over the period 1990 to 2005, Korea is classified as a country which has high forest cover but low deforestation rate. Also, Korea is the only developing country which has 50% or more of forest cover and shows a below average deforestation rate.

키워드

참고문헌

  1. 배재수. 2007. 제1차 치산녹화10년계획의 수립 과정 : 경영중심 임정과 행정중심 임정의 갈림길. 한국임학회지 96(3): 269-282
  2. 배재수, 이기봉, 2006, 해방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가 산림녹화에 미친 영향, 한국임학회지 95(1): 60-72
  3. 배재수. 2000. 林籍調査事業(1910)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9(2): 260-274
  4. 배재수. 1997. 日帝의 朝鮮 山林政策에 관한 硏究-國有林政策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290
  5. 오호성. 1993. 우리 나라 산림정책의 변천과 미래의 산림자원. 산과 한국인의 삶. pp. 456-473
  6. 이기봉, 배재수. 2007. 1970년대 화전정리사업의 성공 요인. 한국임학회지 96(3): 325-337
  7. 주린원 외 12인. 2007. 산림부문의 추세 및 장기 전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19. pp.229
  8. 통계청. 1970. 경제통계연보
  9. 통계청. 2008. 통계청 보도자료(8월 18일): 통계로 본 대한민국 6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10. 통계청. 2009. 장래인구추계 결과. http://www.kosis.kr(2009. 8. 7)
  11. 한국은행. 국민소득. http://ecos.bok.or.kr(2009. 8. 7)
  12. 한국임정연구회. 1975. 치산녹화30년사. pp.475
  13.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 각년차(1927-1943)
  14. 朝鮮總督府. 林野統計 각년차(1927, 1931)
  15. Stern, D.I. 2003.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ical Economics, Internet Encyclopaedia of Ecological Economics. pp.18
  16. FAO. 2005.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ment
  17. Brown, L.R. 2006. Plan B 2.0: Rescuing a Planet Under Stress and a Civilization in Trouble. pp.343
  18. Rudel, T. 1998. Is there a forest transition? : Deforestation, reforestation and development. Rural Sociology 63: 533-552
  19. Kuznets, S. 1966. Modern Economic Growth: Rate, Structure, and Spread. Yale University. pp.529
  20. UNDP. 2003. DPR KOREA : State of the Environmental 2003. pp.59
  21.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http://www.un.org/esa/population/publications (2009.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