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 for Improving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산지이용구분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 박영규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 노혜정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Received : 2009.10.27
  • Accepted : 2009.12.14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to develop a strategy for its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lphi technique, one of the interactive survey method relying on a panel of exper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isting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was initiated for reasonable management of forestland, but now it turned into one of the most strict management restrictions. To improve forestland management in Korea, it was suggested to adopt 'Forest Function System' in this study. Moreover, to avoid indiscreet landuse conversion that might be occurred by substituting the 'Forest Function System' for the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t was suggested to adopt 'Forestland Conversion Propriety Assessment System'. In fact, landuse conversion has been regulated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but this system appeared inadequate to be applied to the forested area. Illegal acts for having permission of landuse conversion for reserved forests was another big issue in the forestland management. For example, alteration of the reserved status of forests or partition into patches smaller than the size limit has been attempted. Thus in this study, it was strongly recommended to take sanction against such illegal act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forestland management, it was also suggested to integrate administrative agencies related to the landuse conversion or to take over the charge to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의 델파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지이용구분제도와 관련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지이용구분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지이용구분제도가 도입당시의 취지와는 달리 대표적인 규제수단으로 변질됨에 따라 산지이용구분제도의 폐지나 대체방안이 필요하며, 대체방안으로 산림기능구분제도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이용구분제도가 산림기능구분제도로 대체되면 산지의 난(亂)개발이 우려되나 현행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난개발 방지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산지전용타당성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전산지의 등록전환과 토지거래 목적의 소규모 필지분할은 산지이용구분제도와 관련된 편법 악용사례로써 엄격히 제한할 필요성이 있으며, 분산된 산지개발 및 허가업무를 산림부서로 일원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산지전용허가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6. 국토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461쪽
  2. 박기남. 2006. 산지의 계획적 관리방안. 국토 294: 47-56
  3. 박영규. 2002. 친환경적 산지개발의 기준과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2쪽
  4. 박영규, 성규철, 유병일. 2003. 산지이이용구분체계정립. 임업연구원 연구보고서
  5. 박영규, 유병일, 성규철, 권순덕. 2004a. 산지이용구분제도의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1): pp. 106-115
  6. 박영규, 권순덕, 성규철. 2004b. 산지이용구분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2): 70-78
  7. 박영규, 권순덕, 성규철, 유병일. 2005. 산지이용구분도 구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립산림과학원. 101쪽
  8. 박영규, 권순덕, 송철철, 권대순, 이종학, 김형호. 2006. GIS기반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3): 46-57
  9. 박영규, 송정은, 권순덕, 김은희, 정주상. 2008.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적정성 평가. 한국임학회지 97(6): 617-626
  10. 송병민, 류주형. 1999. 산지이용제도의 변화에 따른 산지전용실태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7(2): 32-51
  11. 이광원. 1982. 경제개발에 따른 산지이용방안. 농업경제연구 23: 85-95
  12. 임업연구원. 1985. 보전임지와 준보전임지 면적 통계. 내부자료
  13. 채미옥, 염형민, 송하승. 2005. 계획적 국토관리를 위한 산지관리제도의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200쪽
  14. 채미옥. 2006. 산지이용 및 관리제도의 개선방안. 국토 294: 57-69
  15. 채서일. 2003.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2판. 학현사. 서울. 733쪽
  16. 최종천, 최종운. 1998. 산지의 합리적 이용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6(2): 1-19
  17. 지구한국법제연구원. 1999. 대한민국행정법령집. 10-45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