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Posts in the 19th century Houses in Cheongdo, Korea

경북 청도 지역 19세기 고택의 기둥의 크기와 수종 식별

  • Eom, Young Geun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Forest Science) ;
  • Oh, Sei Cha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Life & Environmental Science, Daegu University) ;
  • Xu, Guang Zhu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Forest Science) ;
  • Kim, Sam S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Life & Environmental Science, Daegu University)
  • 엄영근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 오세창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산림자원학과) ;
  • 허광수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 김삼성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8.08.18
  • Accepted : 2008.11.11
  • Published : 2009.05.25

Abstract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post were carried out in four old traditional wooden frame houses in Cheongdo-gun. The diameter and height of post, and distance between post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traditional wooden frame house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height of post as a basic dimension in distance between posts. Of the wood member samples obtained in the site, softwoods in three old houses and hardwoods in one old house were separated through light microscopy. The hardwoods were found to be Castanea crenata. and softwoods were all identified as Pinus densiflora.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4곳의 고택을 답사하고 기둥의 특징을 분석함과 아울러 기둥 부재 시료를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기법을 사용하여 수종 식별을 실시하였다. 기둥은 직경(또는 한 변의 길이)과 배치 간격, 높이 등이 서로 관련성을 갖는데 기둥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보통 기둥의 직경과 기둥의 길이를 기본단위로 하여 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수종 식별 결과 3곳의 고택에서는 침엽수 목재가, 1곳의 고택에서는 활엽수 목재가 확인되었다. 이중 활엽수 목재는 밤나무이고 침엽수 목재는 모두 소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전통적으로 목구조부재로 소나무가 많이 사용되었다고는 하나 일부 활엽수재도 구조용재로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환. 2008. 한옥의 인간중심적인 치수 관계. 문화저널21(http://www.mhj21.com/). 2008/03/27
  2. 김동현. 1995.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p. 299
  3. 김왕직. 2000.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도서출판발언. p. 271
  4. 김태욱. 1994. 원색도감 한국의 수목. 교학사. p. 643
  5. 문화재청. 2005.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p. 343
  6. 박병수, 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연구보고 05-14. 국립산림과학원
  7. 박상진, 이원용, 이필우. 1981. 목재조직의 도해. 정민사. p. 174
  8.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16(1): 9∼28
  9. 박원규. 김병로, 최태호, 김요정. 2004. 목가구의 수종식별과 연륜연대. 국립민속박물관. pp. 20∼23, 88∼91
  10. 박원규, 김지은, 심재용. 2004. 김해 봉황동 가야시대 집터 유적지 출토 목재의 수종 분석. 한국목재공학회 2004 춘계학술발표논문집: 33∼37(A-9). 서울대학교
  11.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16(1): 9∼28
  12. 엄영근, 허광수. 2007. 문경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지하식 목구조물의 목재 식별. 목재공학. 35(6): 73∼82
  13. 이창복. 1986. 신고 수목학. 향문사. p. 331
  14. 장기인. 1991. 목조. 보성문화사. p. 390
  15. 주남철. 1980.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p. 273
  16. 청도군. 2005. 청도의 지정 문화재. 강산애드. p. 260
  17. 伊東隆夫. 1995. 日本産廣葉樹材の解剖學的記載 I. 京都大學木質科學硏究所木材硏究${\cdot}$資料第31號: pp. 81∼181
  18. 林昭三. 1991. 日本産木材顯微鏡寫眞集. 京都大學木質科學硏究所
  19. Eom, Y. G., H. S. Kim, and G. Z. Xu. 2005.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of the Beomeo Temple. Mokchae Konghak 33(2): 1 ∼7
  20. Kim, H. S. and Y. G. Eom. 2006. Microscopic patterns of decay caused by Tyromyces palustris and Gloeophyllum trabeum in Korean red pine and radiata pine woods. Mokchae Konghak 34(5): 1∼10
  21. Lee, P. W. and Y. G. Eom. 1987.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I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opic features. Mokchae Konghak 15(1): 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