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re Resistant Properties of the RC Columns Applying Various Splling Prevention Methods

폭렬방지공법 변화에 따른 RC 기둥부재의 내화특성

  • 한천구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 배장춘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종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이찬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Received : 2008.10.28
  • Accepted : 2009.01.19
  • Published : 2009.05.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re resistance of RC columns applying Fiber addition method, Fire board attaching method, and Fire proof sparying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test showed that increase of fiber content, as expected, decreased the fluidity of fresh concrete, but for the types of fiber, the specimens containing nylon(NY) was favorable. The incline of fiber content also affected on the air content of concrete, which the specimens adding polypropylene(PP) fiber was the lowest, followed by a less decrease in polyvinyl alchhol(PVA) and then NY respectively.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at 28days, it was over 50MPa and showed slight increasing tendency by rising fiber contents. After the fire test completed, control concrete exhibited the severe demage, while the specimens containing more than 0.05vol.% of PP and NY was able to protect from spalling. In the case of splay, the partly spalling occurred at the all finishing material, however the RC columns were protected from spalling. For the methods attached with boards, all RC columns were protected except the dry attaching method. The reduced weight ratio was favorable because it was below 8 % except for plain concrete.

본 연구에서는 RC 기둥의 폭렬방지를 위하여 유기섬유의 혼입방식, 내화보드 부착방식, 스프레이 방식의 폭렬방지공법에 따른 내화특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유기섬유의 혼입율이 증가에 따른 유동성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는 NY섬유를 혼합한 경우 가장 양호하였다. 공기량은 NY섬유가 가장 적게 저하하였고, 그 다음으로 PVA, PP순이었다.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28일 재령에서 50MPa이상으로 섬유의 혼입율이 증가할 수록 약간 크게 나타났다. 내화시험후 폭렬특성으로, 유기섬유 혼입방식의 경우 PVA섬유를 제외한 PP섬유, NY 섬유는 혼입율 0.05%이상에서 폭렬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프레이 방식의 경우는 모든 마감재 부분에서 부분적인 폭렬이 발생하였을 뿐, 모재 콘크리트는 폭렬이 발생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드방식의 경우는 보편적인 일반 건식공법인 경우를 제외한 건식공법 시공 후 내화페인트로 연결철물을 도포한 경우, 내화모르터로 차폐한 경우,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그라우트 한 경우는 모두 폭렬이 발생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질량감소율은 플레인 콘크리트를 제외한 내화시공공법변화에 따라서 공히 8%미만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장동찬, "건축법규 해설", 문운당, 2006, pp.,2-13,2-68, 2-129
  2. 한천구, "비폭렬성 콘크리트", 콘크리트 학회지, 제 10권 6호, 1998. 12, pp. 5-12
  3. 오창희, 김화중, "고열을 받은 콘크리트의 성상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5권 제98호, 1981, pp. 50-54
  4. 송용원, 복합유기섬유 혼입에 의한 내화성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5. 日本コンクリート工學協會,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火災安全性硏究委員會 報告書", 2003
  6. 西田 朗, 山崎 唐行, 井上秀之, "爆熱防止用ポリプロピレン短纖維を混入した高强度コンクリ-ト性狀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1994. 9, pp. 331-338
  7. K.D. Hertz;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38, 2003, pp. 103-116
  8. G. Sanjayan, L. J. Stocks, "Spalling of High-Strength Silica Fume Concrete in Fire", ACI Materials Journal, 1993. 3, pp. 170-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