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rovement plan of course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course&voc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survey to identify how high school students think about career guidance and job and 2) to pursue effective career guidan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irst, most students have thought about their career. They chose friends as a counselor for their future. Among respondents, 39.84% of them said they did not consult with teachers. They said academic record is a stumbling block in choosing career. Second, many students responded career guidance should start at 'Junior High school'. 76.56% of respondents said they were lack of career guidance resources. With respect to career, an important subject was shown as the following order: social study, English, Korean, Science and Math. Third, students recognized the face that aptitude and ability should be the utmost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career. They chose mass media as a main source to gain information relative to career, which accounted for 52.34% and 20.31% for teacher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rather 'poor'home background, teachers were the main sources for career information, whose proportion was relatively high. Forth, parents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ho helped students choose which high school to go(40.69%). In terms of scope of higher education, 65.63% said they wanted to 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ho has good academic records and good home environment wanted to pursue Master's or Doctor's degrees. 70.31% of respondents said they attended a high school just because they wanted to have a desired job.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과 직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미래에 대한 대화상대로는 친구가 가장 선택했고,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9.84%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 선택 시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학업성적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진로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가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학교가 제공하는 진로교육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6.56%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에 대해 많이 배우는 과목은 사회, 영어, 국어, 과학, 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적성과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경로는 매스컴이 52.34%로 가장 높았고, 교사는 20.31%로 나타났다. '좋지 않은' 가정환경의 학생들의 경우 '교사로부터 직업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진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46.09%로 높게 나타났다. 진학하고 싶은 상급학교 수준으로는 대학교까지가 6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편과 성적이 좋을수록 대학원이상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이유는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70.31%로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길훈(2006).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4, 59-92
  2. 고려대학교부설행동과학연구소(2000). 심리척도 핸드북(1),(2). 학지사
  3. 김주현(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창원(2003).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실태 조사 연구.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충기(2001).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6. 류창열(1995). 직업-기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충남대학교 출판부
  7. 문지혜(1999). 중학생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송병국(2004). 국내외 진로교육의 현황 및 시사점.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12, 43-75
  9. 신명호(2003).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관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엄주윤(2002). 중학생의 진로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임영대, 임언, 이지연, 최동선, 김나라(2004).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 수립. 교육인적자원부
  12. 이지연(2005). 초${\cdot}$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직업교육연구, 24(3), 343-380
  13. 이정근(1997). 진로지도의 실제. 성원사
  14. 이현림(2000). 교육심리와 진로지도. 영남대학교 출판부
  15. 장석민, 서혜경, 임재성, 김홍원, 하종덕(1986).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
  16. 조윤희(2003).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자아 효능감 및 진로흥미와의 관계.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최균출(2004). 우리나라의 진로교육 변천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최동준(1996). 진로선택의 길잡이. 중앙교육진흥연구소
  19. 한국교육개발원(1898). 진학과 직업선택을 위한 고등학교 진로교육 지도안. 한국교육개발원
  20. 청소년 워크넷 http://www.youthwork.go.kr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정보센터 http://www.careernet.re.kr
  22. 한국직업정보시스템 http://know.work.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