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of Knowledge Reconsidered : Integrated Knowledge

지식의 구조 재음미 : 통합적 지식

  • Received : 2009.07.24
  • Accepted : 2009.08.21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new curriculum which has always problems even though it is revised repeatedly and to propose an fundamental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se problems considered the wrong point grasping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n other words,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s understood as the point of utility rather than the curriculum are constructed as the form reflecting nature of knowledge. According to do this,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is of help.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s well known existing is understood as manifest aspect but from now on,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acit aspect.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knowledge has characteristics as an integrated knowledg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개요, 교육과정/정책 연구자료 263번
  2. 김기석(1987). 다시 생각해 본 지식의 구조, 윤팔중외 3인(편), 교육과정 이론의 쟁점( 162-183), 서울: 교육과학사
  3. 박소영.김대영(2008).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적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68-183
  4. 부성희(2007). 폴라니 인식론에 기초한 교사 지식의 성격 탐구: 이론-실천 간의 통합적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이종원(1991). '지식의 구조'를 통해 본 지식 통합의 재해석, 교육과정연구, 10(3), 33-45
  6. 이홍우(1994). BRUNER 지식의 구조, 서울: 교육과학사
  7. 이홍우(1995). 증보 교육과정탐구, 서울: 박영사
  8. 이홍우 역(1997).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9. 한국교육과정학회(2007).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이대로 좋은가?. 2007년도 한국 교육과정학회춘계학술대회 세미나 자료집
  10. 장성모(1979). 교육내용 선정 기준에 비추어 본교육과정 통합의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전영미(2000).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의 성격, 교육연구 8, 29-54
  12. 유한구(2002). 통합교과. 교과이론과 교과정책, 성경재 연구총서 5, 서울 : 성경재
  13. 조영태.이환기.박동헌(2001). 인성교육의 확대와 정착에 관한 연구 : 폴라니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2),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편)
  14. 허 균.강승희(2008).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통합 모형 탐색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3), 462-472
  15. Polanyi, M. (1946). Science, faith, and socie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은봉 (역) (1990), 과학, 신념, 사회. 서울: 범양사
  16. Polanyi, M. (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 a post-critical philosophy, New York: RKP. 표재명.김봉미 (역) (2001), 개인적 지식: 후기 비판적 철학을 향하여, 서울: 아카넷
  17. Polanyi, M. (1966). The tacit dimention, Garden City: Doubleday &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