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일 지역 저소득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 Lee, Chung-Sook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
  • Kim, Soo-Jin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
  • Kim, Bo-Young (Namgu Mental Health Center) ;
  • Kweon, Young-Ran (Dep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Joung, Hey-Joung (Health and Hygiene Divisin, Social Welfare Burea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Jeung, Soon-Bok (Dongshin University)
  • 이정숙 (전남대학교간호대학,전남대학교간호과학연구소) ;
  • 김수진 (전남대학교간호대학,전남대학교간호과학연구소) ;
  • 김보영 (광주광역시남구정신보건센터) ;
  • 권영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정혜정 (광주광역시청 사회복지국 보건위생과) ;
  • 정순복 (동신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9.12.0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who were participating in local children care center. Method : From June 2 to September 9, 2008, 32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were measured using K-YSR. Result : In the distribution of three groups by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scores of subjects, normal group was 83.23%, borderline group was 9.32%, clinical group was 7.45% among 322 children.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score of subjects showed attention problem .62(5.61), aggressive behavior .52(9.87), anxiety and depression .50(7.89), withdrawn .49(3.46), social problem .43(3.50), somatic complaints .35(3.17), thought problem .32(2.27), delinquent behavior .31(3.11) and total behavioral problem scores were .44(44.55). Also, total behavioral problem scor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y sex and grade, but the scores of girls students was higher compared with boys. Conclusion : This finding will be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mental health services, which can provide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belong to borderline and clinical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고근종(2006).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2.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학년도학교체육보건급식 기본방향
  3. 구인회(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4. 김경미(2008). 지역아동센터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5. 남소현, 김영희(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적응행동 : 성별 중심. 생활과학교육논총, 3, 17-28
  6. 문은경(2006). 저소득 가정 아동의 가정환경과 문제행동.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7. 민경화(2000).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8. 백혜정, 황혜정(2006).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9(3), 1-27
  9. 보건복지부(2005). 요보호아동보호통계
  10. 보건복지부(2006). 정신보건센터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우수사례집
  11. 보건복지부(2008). 정신보건사업 안내
  12. 서찬란, 이형실(2006). 가족환경 및 개인 심리 요인이 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 151-162
  13. 신지현(2008). 저소득 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 통제력과 환경변인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안동현, 김윤영, 장혜진, 강화영(2003). 2003년도 전국정신보건센터 아동, 청소년정신보건사업 연구조사.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서울
  15. 오승환(2000).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6.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2001).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17. 이경희(1995). 청소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8. 이미숙(2001). 초등학교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19. 이정숙, 강명옥, 고규희, 고미자, 공수자, 김수지, 김수진, 김은희, 박명희, 박후남, 정순아 (2008).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20. 이정희(2007).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1. 이혜경(2007).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적응.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2. 장금옥(2005). 일 초등학교 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3. 조은숙(2008). 아동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요인.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4. 최보윤, 곽노의(2006).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홀리스틱학회지, 10(2), 137-163
  25. 하영신(2007). 초등학생의 정신건강 수준.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6. 하영희(2004).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4), 29-40
  27. 한국여성복지연구회(2005). 가족복지론. 서울:청목
  28. Achenbach, T.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 Department of Psychiatry
  29. Brandenburg N. A., Friedman, R. M., & Silver, S. E.(1990). The epidemiology of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s: Prevalence findings from recent studi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9, 76-83 https://doi.org/10.1097/00004583-199001000-00013
  30. Duncan, G.J, Brooks-Gunn, J., & Klebanov (1994). Economic deprivation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J Chil Dev, 65, 269-318
  31. Liu, X., & Kapln, H.B.(1999). Expla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 longitudinal test of mediating mechanism. J Cri, 37(1), 195-215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9.tb0048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