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연근해 어업자원 평가 및 관리연구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참고문헌
- 곽석남∙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129-135. https://doi.org/10.5657/kfas.2003.36.2.129
- 국립수산과학원. 2002. 한국 어구도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579pp.
- 김영섭∙한경호∙강충배∙김종빈. 2004. 한국 연근해 유용어류도감, 제 2판. 국립수산과학원, 222pp.
- 김영승∙김종빈∙김영혜∙김두남∙안두해∙황선재∙문대연∙김진영∙조현수∙김순송∙고정락. 2006. 세계 유용 두족류도감.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 222pp.
- 김용억∙홍성윤. 1980.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의 어류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2: 137-146.
- 김익수∙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대도감. 아카데미서적,477pp.
-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199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 명정구. 2002.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287pp.
- 민덕기. 2004. 한국패류도감. 민 패류련구소, 도서출판 한국, 566pp.
- 배경식∙윤일병. 1989. 낙동강 하구의 환경특성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동태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2: 11-27.
- 안순모. 2007. 훼손된 자연 생태계 복원기술: 낙동강 하구역 습지 생태계 훼손지역 복원 및 관리기술. 환경부, 051-061-013, 288pp.
- 양홍준∙김구환∙금지돈. 2001.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두에서 어류의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4: 251-258.
- 윤일병∙배경석∙공동수∙송미영. 1987. 낙동강 하구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협회보고서, 9:59-76.
- 윤일병∙배경석∙배연재∙어성준∙김기홍. 1986. 낙동강 하구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계절적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9: 19-38.
- 이재학. 1987. 황해의 저서다모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7pp.
-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 어류 군집의 계절적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 1-8.
-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 438-445.
-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 이태원∙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액 및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 103-114.
- 이태원∙길준우, 1998. 1986~87년 영광 연안 저어류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241-249.
- 장인권∙김창현. 1992.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연체동물상 및 갑각류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5:265-281.
- 전상린. 1987. 낙동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협회보고서, 9: 77-90.
-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 진평∙허성범. 1985.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보고서. IMS 85-NS2 부산수산대학.
- 진평∙허성범. 1987.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IMS 87-NS-2. 부산수산대학.
- 차성식∙박광재. 1997.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35-243.
- 한국수자원공사. 1993. ’93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 한국수자원공사. 1994. ’94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 한국수자원공사. 1995. '95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 한국수자원공사. 1996. ’96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 허성범. 1991. 낙동강 하구둑 건설 관련 공유수면 준설로인한 어업피해 조사. 부산수산대학교.
- 허성회. 1997.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71-78.
- 허성회. 1999.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91-197.
- 허성회∙곽석남. 1997a. 베도라치(Pholis nebulos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22-29.
- 허성회∙곽석남. 1997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02-220.
- 허성회∙곽석남. 1998a.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11-23.
- 허성회∙곽석남. 1998b.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37-44.
- 허성회∙곽석남. 1998c.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168-175.
- 허성회∙곽석남. 1998d.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유어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0:168-175.
- 허성회∙곽석남. 1998e. 광양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붕장어(Congermyriaster)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665-672.
- 허성회∙곽석남. 1999.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2: 10-17.
- 허성회∙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 허성회∙정석근. 1999.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 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5: 178-195.
- 허성회∙김남욱∙추현기. 1998.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대도 주변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4:419-432.
- 홍성윤. 2006.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케데미서적, 482pp.
- 홍성윤∙오철웅. 1989.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2: 351-362.
- 황선도∙임양재∙송홍인∙최용석∙문형태. 1998.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2 . Otter Trawl 어획자원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31: 739-748.
- Abookire, A.A., J.F. Piatt and M.D. Robards. 2000. nearshore fish distributions in an alaskan estuary in relation to stratific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Estuar. Coast. Shelf Sci., 51:45-59. https://doi.org/10.1006/ecss.1999.0615
- Anderson, T.W. 1958. An Introduction to multivariate statical analysi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374pp.
- Cassie, R.M. and A.D. Michael. 1968. Fauna and sediments of an intertidal mud flat: a multivariate analysis. J. Exp. Mar. Biol. Ecol., 3: 1-23.
- Cunter, G. 1967. Some relationships of estuaries to the fisheries of Gulf of Mexico (Publication No. 83 edited by G.H. Lauff).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pp. 621-638.
- Hong, S.Y., C.W. Ma and H.S. Lim. 1994. A ecological study of benthic macrofauna in Nakdong River estuary, 1994.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Societies on Fisheries Science, pp. 24-25.
- Kang, C.K., E.J. Choy, S. Paik, H. Paerk, K. Lee and S. An. 2007. Contributions of primary organic matter sources to macroinvertebrate production in an intertidal salt marsh (Scripus triqueter) ecosystem. Mar. Ecol. Prog. Ser., 334: 131-143. https://doi.org/10.3354/meps334131
- McLusky, D.S. 1989. The Estuarine Ecosystem, 2nd ed. New York: Chapman & Hall. 215pp.
- Parker, R.H. 1975. The study of benthic communities: A model and review. Elservisr Oceanography Ltd., 289pp.
-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 Wigley, R.L. and A.D. McIntyre. 1964. Some quantitative comparisons of offshore meiobenthos and macrobenthos south of Martha’s Vineyard. Limnol. Ocenogr., 9: 485-493. https://doi.org/10.4319/lo.1964.9.4.0485
- Yi, S.K., J.S. Hong and J.H. Lee. 1982.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Bull. Korea Ocean Res. Dev. Inst., 4: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