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matode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y of Pine Wilt Disease Damaged Trees by Soaking and Fumigating Treatment I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침전·훈증처리를 통한 재선충밀도 및 압축강도성능에 관한 연구

  • Yun, Seok-Lak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Hwan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an-Min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Gab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Byeon, Hee-Seep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윤석락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박정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박한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종갑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변희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08.09.09
  • Accepted : 2008.12.31
  • Published : 2009.05.25

Abstract

As an effort to utilize the pine wood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this study analyzed the density of pine wood nematod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amaged trees treated through soaking and fumigating. The density of nematode in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woods soaked in wood vinegar and nematicide, and in seawater reduced greatly in 21 days and in 30 days, respectively. When reextracted nematode was injected artificially into healthy trees, infection was not observed after the lapse of six months, and the mean density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was $0.47g/cm^3$ and $0.54g/cm^3$, respectively, and their compressive strengths were $304kgf/cm^2$ and $363kgf/cm^2$, respectively. As to change in the density of pine wood nematode after fumigating, pine wood nematode was detected until the third month in both species, and those detected afterwards were found to be similar nematodes. After 24 months, the mean dens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were $0.54g/cm^3$ and $0.52g/cm^3$, respectively, and their compressive strengths were $353kgf/cm^2$ and $370kgf/cm^2$, respectively.

침전 및 훈증처리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목재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나무재선충의 밀도 및 종압축강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전처리 후 소나무와 해송 모두 목초액 및 살선충제 처리의 경우 21일째에, 바닷물 침전의 경우에서는 30일째에 재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아졌다. 재추출된 재선충을 피해가 없는 정상재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경우 6개월경과 후까지 감염되지 않았으며,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47g/cm^3$, $0.54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04kgf/cm^2$, $363kgf/cm^2$이었다. 훈증처리 후의 소나무재선충은 수종에 관계없이 3개월까지는 검출되었으며, 그 이후에 출현하는 재선충은 유사 선충으로 판명되었다. 24개월이 지난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54g/cm^3$, $0.52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53kgf/cm^2$, $370kgf/cm^2$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피해목의 목재재료로서의 활용성은 일부 검증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추후 기타 조직, 물리 및 역학적 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성, 박영숙, 권영한, 송미영, 신상철, 박지두. 2003. 항공약제살포가 소나무림 절족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6): 608∼617
  2. 김동수, 이상명, 정영진, 최광식, 문일성, 박정규. 2003.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상태.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2(4): 307∼313
  3. 김찬섭${\cdot}$신상철. 2002. 소나무재선충 피해림 항공방제의 생태계 영향(II) -메프유제의 산림환경의 행적. 임업정보. 126: 54∼56
  4. 문일성, 이상명, 이창근, 김교수. 1993.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병원성 및 방제효과. 임업정보. 47: 140∼152
  5. 산림과학원, 2006, 소나무재선충병의 국제 연구 동향. pp.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