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Heat Exchanger for Fermentation Heat Utilization from Waste Woody Biomass

목질계 폐바이오메스의 발효열이용 열교환기의 개발

  • Cho, Nam-Seok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Tae-Ho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Eun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k-Ho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Koo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조남석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전공) ;
  • 최태호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전공) ;
  • 김홍은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전공) ;
  • 이석호 (충북대학교 기계공학부) ;
  • 이충구 (충북대학교 기계공학부)
  • Received : 2008.08.04
  • Accepted : 2008.09.10
  • Published : 2009.01.25

Abstract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the production of fermentation-heat energy from the waste agricultural and forest biomass and its effective heat exchanging system for the supply of warm water to rural households and greenhouses. In this study 3 helical-type and 1 plate-type heat exchangers using 3 different waste biomasses [e.g. hardwood (HW) sawdust (100%), softwood (SW) sawdust : HW sawdust (50 : 50) and HW sawdust : grass (90 : 10)] were applied in order to find out the best heat recovery system. The heat exchanger was basically considered to improve the overall heat recovery efficiency, to minimize heat loss and to simplify manufacturing, assembling and breaking up the fermenting beds. The helical-type heat exchanger (HX-H3) installed in fermenting bed of HW sawdust : grass (90 : 10) showed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profiles, in particular mid- and upper-parts than lower and surface parts during 45-day fermentation process. The maximum temperature was ranged from $40^{\circ}C$ to $65^{\circ}C$ with average $60^{\circ}C$. The water temperature of tank outlet was ranged to $33{\sim}48^{\circ}C$ during whole measuring periods. By the way plate-type one (HX-P) installed in same biomass compositional fermenting bed showed $64.5{\sim}76.5^{\circ}C$ at center part, and $43{\sim}56^{\circ}C$ and $42{\sim}58^{\circ}C$, water tank and tank outlet temperatures, respectively, during 100 day measureme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late-type heat exchanger (HX-P) provides not only the effective heating for the rural households and greenhouses, but also having the best heat recovery performance, easy manufacturing, assembling and breaking up the systems.

본 연구는 폐바이오매스로서 활엽수(hardwood, HW)톱밥, 침엽수(softwood, SW)톱밥, 산야초류(grass) 등 3종의 발효재료를 이용, 3종의 나선형 열교환기와 1종의 평판형 열교환기를 제작하여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발효열을 가장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발효열 교환장치 개발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바이오매스재료의 적절한 원료 배합을 통한 발열 및 열교환 특성을 조사하고 실제 농가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열교환기를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나선형 열교환기를 사용한 발효열 실험에서 활엽수톱밥 및 침엽수 : 활엽수톱밥(50 : 50) 처리보다는 활엽수톱밥 : 산야초(90 : 10)의 발효가 약 3개월간의 긴 발열기간을 나타냈으며, 발효상을 통과한 물의 온도를 100일간 측정한 결과, 중앙부가 $64.5{\sim}76.5^{\circ}C$로 매우 높았고, 물탱크 온도는 $33{\sim}48^{\circ}C$ 범위였으며, 출구의 수온은 $33{\sim}44^{\circ}C$로서 4~5인 기준의 가정용 온수공급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수행한 4종의 열교환기 실험 결과, 나선형 열교환기 HX-H1은 수온이 $35{\sim}36^{\circ}C$범위로서 더 이상의 온도상승이 없었고, HX-H2는 수온이 $40{\sim}45^{\circ}C$로서 실험기간 중 일정한 온도분포를 보였다. 한편 HX-H3는 최고온도 $68{\sim}70^{\circ}C$, 최저온도 $30^{\circ}C$, 평균온도 $50^{\circ}C$였고, 출구의 온수온도는 $33{\sim}44^{\circ}C$ 범위로서 45일간 공급 가능하였다. 평판형 열교환기 HX-P는 수온이 $42{\sim}58^{\circ}C$로서 3개월 이상 온수공급이 가능하였으므로 4~5인 기준의 가정용 난방 및 온수공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평판형 열교환기 HX-P는 나선형 열교환기 HX-H에 비해 발효상 내부에 열교환용 파이프가 빈틈없이 배치되어 발효상 전면적을 통해 발효열을 최대로 회수할 수 있었으며, $42{\sim}58^{\circ}C$의 발효열을 최대 3개월정도 이용 가능하였고, 장시간 운용에도 온도가 급강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효열교환기는 나선형 시스템보다는 발효열의 회수 효율이 매우 높으면서도, 열교환장치의 제작, 설치, 해체가 용이한 평판형 시스템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2003 산림폐바이오메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Supported by : 농림부

References

  1. 김지동. 2001. 유기물 폐기물의 고속 혐기발효 및 메탄가스 정제 이용기술,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과학기술부 연구보고서, No. 99-I-01-04-A-023.
  2. 안원영, 조재명, 공영토. 1981. 목질계에너지 자원과 이용방향. 임산에너지학회지 1(1): 30-34.
  3. 이종윤, 박상진, 이건석, 조남석, 장준복, 안병조. 1989. 목질계바이오메스의 이용(1). 폭쇄장치의 제작 및 폭쇄재의 조성. 목재공학 17(2): 65-73.
  4. 이충구, 이세균, 이계복, 이석호, 김정현. 2004. 폐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폐열 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회 논문집 16(6): 514~521
  5. 이돈구, 이충구, 조남석. 2005. 산림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농림기술과제연구보고서 (농림기술관리센타). pp. 1-245.
  6. 조남석. 1983. 목질계자원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개발. 영남대 자원문제연구 2: 1-13.
  7. 조남석. 1989a. 자기가수분해와 효소적 당화(I). 한국펄프종이공학회지 21(3): 24-34.
  8. 조남석. 1989b. 자기가수분해와 효소적 당화(2). 한국펄프종이공학회지 21(4): 21-30.
  9. 조남석. 1990. 목질계 폐재를 이용한 토양개량제 제조에 관한 연구, 영남대 자원문제연구논문집 9(1): 1-9.
  10. 조남석, 민두식. 1990. 대체연료생산을 위한 목질재료의 가수분해에 관한 연구(제5보). 묽은 황산에 의한 폭쇄처리재의 가수분해. 한국펄프종이공학회지 22(4): 35-40.
  11. 조남석, 이종윤, 윤병호, 황병호. 1987. 목재화학. 영남대 출판부. pp. 371-401.
  12. 조남석, 임창숙, 이재성, 박신. 1991. 대체연료생산을 위한 목질재료의 가수분해에 관한 연구(제3보). 폭쇄처리재의 효소분해시 cellulase효소의 전량적 회수에 관하여. 목재공학 19(1): 14-21.
  13. 조남석, 최태호, 정선화, 김홍은, 이충구. 2003. 바이오에너지생산을 위한 산림폐바이오메스의 발효.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366-369.
  14. 조남석, 최태호, 김홍은, 이충구. 2006. 산림폐바이오메스를 활용한 발효열장치의 개발.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324-325.
  15. 조남석, 최태호. 2008. 바이오에너지생산을 위한 목질계 폐바이오매스의 발효. 목재공학 (투고중). https://doi.org/10.5658/WOOD.2008.36.6.147
  16. 한국과학기술원. 1981. 목질자원의 사료화 및 연료에너지 생산을 위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보고서. pp. 1$\sim$28
  17. 阿部佳之. 2005. 흡인 통기식 퇴비화 처리기술의 개발. 일본 농업생물특정산업 기술연구기구(農業生物特定産業 技術硏究機構) 축산초지연구소(畜産草地硏究所), 축산환경부. pp. 1-219.
  18. 日本科學技術廳. 1971. 木材工業의 廢材외 그 利用. 資源調査會編. pp. 1-385.
  19. 河田 弘. 1981. Bark 堆肥. 博友社 pp.15-41.
  20. Arvelakis, S. and E.. G. Koukios. 2002. Physicochemical upgrading of agroresidues as feedstocks for energy production via thermochemical conversion methods. Biomass & Bioenergy 22: 331-348. https://doi.org/10.1016/S0961-9534(01)00056-3
  21. Dahn, J., C. Bales, K. Lorenz, and J. Dalenback. 1998. Evaluation of storage configurations with internal heat exchangers. Solar Energy 62(6): 407-417. https://doi.org/10.1016/S0038-092X(98)00029-2
  22. Davey, C. 1953. Sawdust composts: their preparation and effect on plant growth. Soil Sci. Soc. Am. Proc. 17: 59-60. https://doi.org/10.2136/sssaj1953.03615995001700010015x
  23. Davey, C. 1955. Transformation of sawdust in the course of its decomposition under the influence Coprinus ephemerus. Soil Sci. Soc. Am. Proc. 19: 376-377. https://doi.org/10.2136/sssaj1955.03615995001900030031x
  24. Dunn, S., L. P. Jr. Wolfe, W. A. Macdonald, and J. R. Baker. 1952. Field plot studies with sawdust for soil improvement. Plant & Soil 2: 164-170.
  25. Faaij, A. P. C. 2006. Bio-energy in Europe: Changing technology choices. Energy Policy 34: 322-342. https://doi.org/10.1016/j.enpol.2004.03.026
  26. Gil, J., J. Corella, M. P. Aznar, and M. A. Caballero. 1999. Biomass gasification in atmospheric and bubbling fluidized bed: Effect of the type of gasifying agent on the product distribution. Biomass & Bioenergy 17: 389-403. https://doi.org/10.1016/S0961-9534(99)00055-0
  27. Goldstein, I. S. 1981. Organic Chemicals from Biomass. CRC Press, Boca Raton, pp. 1-100.
  28. Grethlein, A. J. and M. K. Jain. 1993. Bioprocessing of coal-derived synthesis gases by anaerobic bacteria. Trends in Biotechnology 10: 418-423. https://doi.org/10.1016/0167-7799(92)90290-C
  29. Holman, J. P. 1997. Heat Transfer, McGraw Hill, New York, pp. 30-125.
  30. Lin, Y. and S. Tanaka. 2006. Ethanol fermentation from biomass resources: current state and prospect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9: 627-642. https://doi.org/10.1007/s00253-005-0229-x
  31. Lucas, C. D. Szewczyk, W. Blasiak, and S. Mochida. 2004. High-temperature air and steam gasification of densified biofuels. Biomass & Bioenergy 27: 563-575. https://doi.org/10.1016/j.biombioe.2003.08.015
  32. Matsumura, Y. 2002. Evaluation of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and Biomethanation for Wet Biomass Utilization in Japan, Energy Conversion & Management 43: 1301-1310. https://doi.org/10.1016/S0196-8904(02)00016-X
  33. Muraki, E., F. Yaku, R. Tanaka, and T. Koshijima. 1982. Enzymatic degradation of finely divided wood meal. Mukuzai Gakkaishi 28: 122-128.
  34. Pain, I. and J. Pain. 1972. The Methods of Jean Pain: Another Kind of Garden. Commite International Jean Pain, Hofter Winkelen, Londerzeel, Belgium.
  35. Shimizu, K. 1981. Development of Fuels and Chemicals from Biomass. Fuji Technosystem 275. pp. 25~150
  36. Strakanen, K. and D. A. Tillman. 1979. Progress in Biomass Conversion. Academic Press, New York. pp. 6~126
  37. Yoshioka, T., S. Hirata, Y. Matsumura, and K. Sakanishi. 2005. Woody biomass resources and conversion in Japa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jections to 2010 and 2050. Biomass & Bioenergy 29: 336-346. https://doi.org/10.1016/j.biombioe.2004.06.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