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희경, 송진숙. (2000). 걸음마기 및 유아기 부모들의 발생적 문식성에 대한 태도와 가정에서의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13.
- 김명순. (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환경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3, 120-131.
- 김명순, 권희경. (2002).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동문해 발달에 대한 태도 및 가정 문해환경. 대한가정학회지, 40(1), 147-161.
- 김정화, 이문정. (2006). 유아의 문식성 습득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신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37-251.
- 서혜정. (1997).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승민, 송진숙. (2006). 문해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행동 연구: 창안적 글자쓰기와 총체적 언어접근법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07-123.
- 송승민, 임애련. (2005).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활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01-409.
- 유승연. (1998). 총체적 언어접근을 위한 평가 방법으로서의 포트폴리오(portfolio)의 활용. 유아교육논집, 2(2), 133-157.
- 유승연. (2000).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사의 신념에 대한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1(1), 201-214.
- 윤혜영. (1997). 총체적 언어접근에서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위영희. (2004). 유아문해교육에 대한 접근방법 탐색. 교육논총, 9, 95-116.
- 이성은, 오은순. (2002). 문학중심 총체적 언어교육 활동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0, 167-199.
- 이성은, 황영미. (2003).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국어교육, 22, 305-334.
- 이숙재, 박인숙. (1999).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의 이론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 이차숙, 노명완. (1995). 유아언어교육론. 서울: 동문사.
- 이항재, 한복연. (2000). 총체적 언어접근 활동이 유아의 문해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27-56.
- 장영숙, 최미숙, 황윤세. (2004). 교사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29-47.
- 정숙경. (2001a). 유치원 교사들의 문해습득에 대한 신념 및 실천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6, 69-103.
- 정숙경. (2001b). 총체적 언어접근과 유치원 유아의 문해지도 방안. 학생연구, 29, 97-115.
- 정숙경. (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해성 지도 접근방식 및 신념. 초등교육연구, 17(1), 101-126.
- 제경숙. (2002). 유아언어교육의 총체적 접근. 인문논총, 15, 347-365.
- 조정숙. (1997). 유치원의 문자언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 113-138.
- 조정옥, 이달석. (2002). 총체적 언어접근의 저널쓰기가 유아의 쓰기능력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 23(2), 1-33.
- 홍인숙. (2001).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환경: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Ball, E. W., & Blachman, B. (1991). Does phoneme awareness training in the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al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6(1), 49-66. https://doi.org/10.1598/RRQ.26.1.3
- Clay, M. (1975). What Did I Write: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DeBaryshe, B. D. (1995). Maternal belief systems: Linchpin in the home read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 1-20. https://doi.org/10.1016/0193-3973(95)90013-6
- Doane, D., & Seward, L. (2009). Applied Statistics in Business and Economic. Boston: McGraw-Hill Irwin.
- Freeman, E. B., & Hatch, J. A. (1989). Emergent literacy: Reconceptualizing kindergarten practice. Childhood Education, 66(1), 21-24. https://doi.org/10.1080/00094056.1989.10522472
- Goodman, K. S. (1986). What's Whole in Whole Language?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Harste, J. C., Woodward, V. A., & Burke, C. I. (1984). Language Stories & Literacy Lessons.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Kurkjan, C. M. (1994). The mediation of literacy in selected Head Start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 Schickedanz, J. A. (1986). More than the ABCs: The early stages of reading and writing.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Senechal, M., & Lefevre, J. A. (2002).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skills: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3(2), 445-460.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7
- Smith, S. S. (1996). A longitudinal study: The literacy development of 57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 Sulzby, E. (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4), 450-481.
- Teal, W. H., & Sulzby, E. (Eds.). (1986).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Ablex.
- Yoo. (1996).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reflect their use of the whole language and traditional approach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