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omparison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Beliefs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and Their Literacy Practices

문해습득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신념과 문해활동 비교 분석 연구 - 총체적 언어접근을 중심으로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mothers' and teachers' beliefs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by comparing their beliefs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lso, their literacy practices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were compared and how their literacy beliefs and practices were related was investigated. 176 mothers and 72 day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Kyunggi-do.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age, mothers' education, father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mostly predict the mothers' literacy beliefs. Also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re the main predicting variables in the teachers' beliefs. In practices, the mothers' age, number of children, and fathers' education are independent variables predicting the mothers' practices. The teachers' age, education, interest abou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learning experience, and number of children in the classroom are independent variables into the teachers' practices. Overall,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beliefs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nd did more literacy practices than the mothers.

Keywords

References

  1. 권희경, 송진숙. (2000). 걸음마기 및 유아기 부모들의 발생적 문식성에 대한 태도와 가정에서의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13.
  2. 김명순. (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환경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3, 120-131.
  3. 김명순, 권희경. (2002).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동문해 발달에 대한 태도 및 가정 문해환경. 대한가정학회지, 40(1), 147-161.
  4. 김정화, 이문정. (2006). 유아의 문식성 습득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신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37-251.
  5. 서혜정. (1997).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송승민, 송진숙. (2006). 문해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행동 연구: 창안적 글자쓰기와 총체적 언어접근법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07-123.
  7. 송승민, 임애련. (2005).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활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01-409.
  8. 유승연. (1998). 총체적 언어접근을 위한 평가 방법으로서의 포트폴리오(portfolio)의 활용. 유아교육논집, 2(2), 133-157.
  9. 유승연. (2000).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사의 신념에 대한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1(1), 201-214.
  10. 윤혜영. (1997). 총체적 언어접근에서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위영희. (2004). 유아문해교육에 대한 접근방법 탐색. 교육논총, 9, 95-116.
  12. 이성은, 오은순. (2002). 문학중심 총체적 언어교육 활동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0, 167-199.
  13. 이성은, 황영미. (2003).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이 아동의 다중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국어교육, 22, 305-334.
  14. 이숙재, 박인숙. (1999).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의 이론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5. 이차숙, 노명완. (1995). 유아언어교육론. 서울: 동문사.
  16. 이항재, 한복연. (2000). 총체적 언어접근 활동이 유아의 문해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27-56.
  17. 장영숙, 최미숙, 황윤세. (2004). 교사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29-47.
  18. 정숙경. (2001a). 유치원 교사들의 문해습득에 대한 신념 및 실천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6, 69-103.
  19. 정숙경. (2001b). 총체적 언어접근과 유치원 유아의 문해지도 방안. 학생연구, 29, 97-115.
  20. 정숙경. (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해성 지도 접근방식 및 신념. 초등교육연구, 17(1), 101-126.
  21. 제경숙. (2002). 유아언어교육의 총체적 접근. 인문논총, 15, 347-365.
  22. 조정숙. (1997). 유치원의 문자언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 113-138.
  23. 조정옥, 이달석. (2002). 총체적 언어접근의 저널쓰기가 유아의 쓰기능력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 23(2), 1-33.
  24. 홍인숙. (2001).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환경: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Ball, E. W., & Blachman, B. (1991). Does phoneme awareness training in the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al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6(1), 49-66. https://doi.org/10.1598/RRQ.26.1.3
  26. Clay, M. (1975). What Did I Write: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27. DeBaryshe, B. D. (1995). Maternal belief systems: Linchpin in the home read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 1-20. https://doi.org/10.1016/0193-3973(95)90013-6
  28. Doane, D., & Seward, L. (2009). Applied Statistics in Business and Economic. Boston: McGraw-Hill Irwin.
  29. Freeman, E. B., & Hatch, J. A. (1989). Emergent literacy: Reconceptualizing kindergarten practice. Childhood Education, 66(1), 21-24. https://doi.org/10.1080/00094056.1989.10522472
  30. Goodman, K. S. (1986). What's Whole in Whole Language?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31. Harste, J. C., Woodward, V. A., & Burke, C. I. (1984). Language Stories & Literacy Lessons.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32. Kurkjan, C. M. (1994). The mediation of literacy in selected Head Start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33. Schickedanz, J. A. (1986). More than the ABCs: The early stages of reading and writing.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4. Senechal, M., & Lefevre, J. A. (2002).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skills: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3(2), 445-460.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7
  35. Smith, S. S. (1996). A longitudinal study: The literacy development of 57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36. Sulzby, E. (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4), 450-481.
  37. Teal, W. H., & Sulzby, E. (Eds.). (1986).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Ablex.
  38. Yoo. (1996).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reflect their use of the whole language and traditional approach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