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Computer Game Needs in the Elderly

노인들의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 요구도의 상관성 분석

  • 임경춘 (호서대학교 자연대학 간호학과) ;
  • 이윤정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 ;
  • 안준희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
  • Published : 2009.11.28

Abstract

Regular activity program is neede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and obesity and preventing falls as a nursing intervention. It seems that serious game will be very important for older people to keep them active with fun to improve their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computer game needs in the elderly.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a convenience sample of adults who are older than 55 years, recruited from several places through trained research assistants and research center that has online pools in Korea. 778 subjects (mean age: $61.4\;{\pm}\;5.6$)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jority of subjects was male (68.6%). We found that there was higher needs for exercise or serious game in the group of ma1e(55.4%), below undergraduate(66.2%), under two family members(32.5%), over 350,000 won of pocket money/month (40.1%), mild depressive symptom (51.7%), and online responser(68%). Especially, they wanted to overcome physical limitations through games. Higher education, more experiences and skills of using computer/internet was statistically and positively significant to the needs for exercise or serious game. In conclusion, there exists a potential market within this demographic group for the use of serious games. Thus, we need to develop senior games in Korea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on.

만성질환 및 비만 관리와 낙상예방 등을 위한 간호중재의 하나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운동게임 등의 기능성 게임을 질병예방 교육과 치료보조, 재활 등에 응용하는 방안은 점차 중요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요구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훈련된 연구보조원들의 면접조사와 전문조사기관의 온라인조사 결과 778명(평균 연령: $61.4\;{\pm}\;5.6$)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그 중 68.6%가 남자였다. 분석결과 남성(55.4%), 고졸이하(66.2%), 2명 이하의 가족수(32.5%), 월평균 35만원 이상(40.1%), 경증 우울증(51.7%), 온라인 응답자(68%) 그룹에서 게임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게임을 통해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고 싶어했다. 상관성 분석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이용 경험이 있을수록, 컴퓨터/인터넷 활용이 능숙할수록 운동게임이나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그룹을 위한 여가활용 차원에서의 즐거움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이 개발된다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nia.or.kr/index.aspx?PortalID=ko&MenuID=090825234345754260&template=Default&control=View.ascx&seq=37614&idx=1.
  2. http://www.nida.or.kr/notice/view.jsp?brdId=0631516280001000&aSeq=070803172518002001
  3. http://isis.nida.or.kr/ebok/2008/ebook.jsp
  4. 이윤희, 정보격차.정보문화 해외동향, 정보격차해소연구센터, 2008
  5. 권윤희,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측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학위논문, 2005.
  6. 엄미경, "초등학생의 컴퓨터게임 이용실태 및 게임중독정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1-30, 2002.
  7. 오원옥,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컴퓨터 게임 사용실태와 중독 예방 교육 요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2권, 제4호, pp.1-16, 2005.
  8. 강윤주,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개발 및 유용성 검토,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9. 김중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및 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10. 김중휘, 김중선,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선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51-367, 2005.
  11. 박정미, 김중선,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집중적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687-698, 2004.
  12. 장재영, 뇌졸중 환자의 재활 훈련을 위한 게임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3. 김민영, 노인의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14. 김진호, 치매노인을 위한 게임요법의 효과성 연구: 인지기능과 이상행동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5. 최재성, "노인정보화교육의 성과: 노인일상생활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노인 국제 컨퍼런스 발표 내용, 2008.
  16. J. Ansley and J. T. Erber, "Computer interaction: Effect on attitudes and performance in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Vol.14, No.2, pp.107-119, 1988. https://doi.org/10.1080/0380127880140203
  17. C. Aison, G. Davis, J Milner, and E. Targum, Appeal and Interest of Video Game Use Among the Elderly, The Ha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y, 2002.
  18. 박장근, 임란희, 한성수, "21세기 여가문화로서의 컴퓨터 게임 산업의 현황",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5호, pp.831-849, 2001.
  19. 박연아, 시니어 게임 콘텐츠의 개발 전략 연구: 인지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20. 이대웅, "기능게임에 관한 연구", J. Natural Sci, 상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pp.1-11,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