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tegorizing the Landcover Classes of the Satellite Imagery for the Manage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s

비점오염원 수문유출모형에 적용 가능한 위성영상의 토지피복 분류항목 설정

  • 서동조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Published : 2009.11.28

Abstract

To measure the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some efforts are tried to utilize satellite imagery. But, as the factors for water models do not relate with the landcover categories for satellite imagery, satellite imagery are adapted to roughly classified thematic map or used only for the image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cover categories of satellite imagery to relate with the water models. To establish the categories of the landcover for the water models, it was investigated to get main factors of water flow models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to review the existing study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is result, it was convinced that the basic unit on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landcover coefficients of SCS Curve Number, the crop factor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are the useful parameters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imagery. After the setup the categories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it was finally defined from the consultation of the water model specialist. Woopo wetland watershed was selected to the study area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wetland in Korea and needs the management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re were used Landsat ETM Plus and SPOT-5 satellite imagery to assess the result of the image classification.

비점오염원의 유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토지피복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위성영상자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문 유출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와 부합되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이 되지 못한 채 단순한 분류항목으로만 사용되거나, 육안 해석용으로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 모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위성영상을 통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수문유출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피복 항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원 유출모델의 주요 인자,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토지피복 항목, 그리고 국내외 각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피복 분류체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원단위, 유출곡선지수의 토지피복 계수,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의 식생인자, Manning의 조도계수 등의 인자들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정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가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수문유출모형 관련 기관의 전문가로부터 토지피복 분류항목의 적정성에 대한 자문 과정을 거쳐 결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습지로 비점오염원 관리체계가 필요한 우포늪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하였다.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적용할 위성영상으로는 분광 해상도가 높은 Landsat ETM Plus 영상과 공간 해상도가 높은 SPOT-5 영상을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 M. Lillesand and R. W. Kiefer,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4th ed, John Wiley and Sons, 2000.
  2. 환경부,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2002.
  3.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제작지침, 2001.
  4. Newell, C., H. Rifai and P. Bendient, "Characterization of nonpoiont sources and loadings to Galveston Bay," The Galveston Bay National Estuary Program, 1992.
  5. 권우석, GIS를 이용한 행정구역별 비점오염원 관리 우선 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6. 강문성, 인공신경망 원격탐사기법과 비정오염모델을 이용한 오염총량모의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7. 송동하, 일일 오염 부하량 예측을 위한 분포형 유역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8. 박해경, GIS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공간적변화 분석 : 경기도 광주시를 사례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국립환경연구원, 전국 주요하천 기초조사, 1983.
  10. 손충현, 농촌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한국수자원공사, 다목적댐 저수지 수질조사 보고서, 1991.
  12. 환경청, 서남해권 환경보전 종합계획사업, 1986.
  13. 환경부,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1995.
  14. 환경부, 오염총량 관리지침, 1999.
  15. 김홍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유역내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환경부, 창녕 우포늪 생태계보전지역 보전.관리 대책수립, 2002.
  17. 박대제, 수계오염총량관리 시행을 위한 지역오염원조사에 관한연구 : 산청군지역을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송은엽, 내륙습지의 관리를 위한 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 야생동물 서식처 기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김철, 김석규, "GIS를 이용한 주암호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모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5, No.3, pp.87-98, 2002.
  20. 김유리, 경기도 안산천 유역에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유출 및 비점오염원 특성 분석을 위한 SWMM 적용,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A. M. Quenzer and D. R. Maidment, "A GIS assesment of the total loads and water quality in the Corpus Christi Bay System," CRWR Online Report 98-1,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Texas, 1998.
  22. 엄명철, 하구담수호 유역의 시공간적 오염물질 배출구조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3. 장정렬, 농업유역 비점원오염 저감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인자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4. USDA Soil Conservation Service,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55, 2nd ed., 1986.
  25. 김경탁,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CN산정에 대한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2003, 36(4): 45-53.
  26. LMNO Engineering, Research, and Software, SCS TR-55 Peak Discharge and Runoff Calculator: Hydrologic calculations for Peak Discharge, Runoff Depth, Runoff Curve Number, Time of Concentration, and Travel Times, Based on the USA Soil Conservation Service publication TR-55 (1986)
  27. LMNO Engineering, Research, and Software,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1999.
  28. Wischmeier, W.H and D.D. Smith,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Handbook 537, Washington, D.C.:. U.S. GPO, 1978.
  29. Morgan, R.P.C.,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 John Wiley & Sons, 1986.
  30. Brady, N.C.,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Ninth Edi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4.
  31. 서동조, 위성영상의 규칙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한 우포늪 유역의 비점오염원 정보추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