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Body-in-Pieces Images in Fashion Design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파편화된 신체 이미지 연구

  • 최유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images of the body-in-pieces in fashion design. This study focusing on the body-in-pieces based theoretically in that, and started to figure out the meanings in western art history. Body-in-pieces images were brought in art to express symbolic meanings to destroy the past, sexual fetish, unconsciousness, desire, fantasy, and to disorganize male-subjective idealistic female image. While in fashion design, body-in-pieces images categorized in three, erotic image, cyborg image, abjection image. First, erotic images in fashion design are fragmented body image, such like lip, hair, eye and etc. Second, cyborg image was represented by 3-dimentional molding image made of metallic materials, and last, abjection image representing death image used skeleton and bone image induced uncanny and sadistic feelings. Body-in-pieces images in fashion design are related to fetishism, uncanny, disorganizing traditional femininity.

Keywords

References

  1. 조현익 (2007). 여성의 이미지와 물성을 통한 욕망의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4-25
  2. 권기영 (2000).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신체의 의미와 표현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윤영, 양숙희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잔혹성 이미지-크레스테바 이론을 중심으로. 복식, 54(1), pp. 83-95
  5. 차은진, 박미령 (2002). 애브젝트로 표현된 의상. 복식, 52(2), pp. 19-30
  6. Linda Nochlin (1994). The Body in Pieces: the Fragment as a Metaphor of Modernity London: Thames & Hudson Ltd. 정연심 역 (2001).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7. 한림미술관. 이대기호학연구소 (1999). 몸과 미술-새로운 미술사의 시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1
  8. 정연심 역 (2001).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9. 위의 책, pp. 53-55
  10. 위의 책, p. 55
  11. 위의 책, pp. 56-57
  12. 허지숙 (2003). 신디 셔먼(Cindy Sherman)작품에 나타난 파편화된 신체이미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p. 14
  13. 위의 책, p. 51
  14. 위의 책, p. 51
  15. 할 포스터, 전영백과 현대미술연구팀 역 (2005).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 아트북스, p. 160
  16. 서세나 (2007). 한스 벨머(Hans Bellmer)의 인형 시리즈에 나타난 재구성된 신체 이미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17. 신학동 (2004). 페미니즘이 현대 패션사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18. 김지현 (2003). 여성의 몸 -그 파편화된 이미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19. 위의 책, pp. 13-14
  20. 위의 책, p. 29
  21. 정연심 역 (2001). 앞의 책, p. 84
  22. Donna Haraway (1992). A Manifesto for Cyborg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 Feminism in 1980's in Linda J. Nicholson, ed., Feminism/Postmodernism, Routledge, pp. 190-233
  23. 다너 해러웨이. 임옥희 (1995).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로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 문화과학, 8, pp. 74-99
  24. 윤영, 양숙희 (2004). 앞의 책, pp. 83-95
  25. 김원방 (1998).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몸과 권력사이에서, 서울: 예경, p. 85
  26. 윤영, 양숙희. 앞의 책, p. 90
  27. 서세나. 앞의 책, pp. 32-33
  28. 남후남 (2005).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브레스트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29. 김현수, 양숙희 (2003). 디지털시대 패션에 나타난 사이버페미니즘 연구-사이버 하위문화 스타일을 중심으로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1), pp. 1229-1240
  30. 차은진, 박미령. 앞의 책, p. 23
  31. 전영백과 현대미술연구팀 역 (2005). 앞의 책, p. 38
  32. 김홍희 (1998).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서울: 재원, p. 228
  33. 차은진, 박미령 (2002). 애브젝트로 표현된 의상. 복식, 52(2), p. 21
  34. 김현수, 양숙희 (2004). 디지털시대 패션에 나타난 사이버페미니즘 연구(제2보)-미적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2), p.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