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haracteristic Analysis of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Medium Sized Catchment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임계지속기간 특성 분석

  • 이정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박종영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김석동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logical factors on critical duration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the medium sized catchments. Hydrological factors are used to return period, probable intensity formula, hydrograph method, effective rainfall and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Hydrologic analysis has done over the 44 medium sized catchments with $50{\sim}5,000{\beta}{\yen}$.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catchment area, channel length, channel slope, catchment slope, time to peak, concentration of time and curve number were used to simulate correlation analysis. All of hydrological factors except return period influence to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Also, it is revealed that critical duration is influenced by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area, channel length, channel slope and catchment slop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is carried out for the estimation of relationship among these. And the 7 type equations are propos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us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shows $0.96{\sim}0.97$.

본 연구에서는 대표단위도가 작성되어 있는 중규모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고 임계지속기간과 관련된 수문요소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임계지속기간과 유역특성인자, 유역응답시간 특성인자 그리고 단위도 특성인자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현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수문요소(확률강우강도식, 유출량 산정방법, 유효우량 산정방법, 강우시간분포)이 임계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유역경사가 임계지속기간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성이 높은 유역특성인자와 임계지속기간과의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7가지 형태의 회귀식을 제시하였으며, 유도된 회귀식의 결정계수가 모두 $0.96{\sim}0.97$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89) 금강 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2. 건설교통부 (1995) 낙동강수계 유출 프로그램 개선
  3. 건설교통부 (2000a)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수자원관리기법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4. 건설부 (1983-2002)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5. 건설부 (1993)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별책부록 설계 홍수추정지침서
  6. 건설부 (1988) 섬진강 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7. 건설부 (1991) 영산강 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8. 박종영, 신창동, 이정식 (2004)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695-706 https://doi.org/10.3741/JKWRA.2004.37.9.695
  9. 이재준, 이정식 (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403-415
  10. 이재준, 이정식, 박종영 (2001) 계획강우량 설정을 위한 권역별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1-B호, pp.1-10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렛 П³-합성단위도 개발을 중심으로-
  12.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 No.4, pp.1007-1019 https://doi.org/10.1029/WR003i004p01007
  13. Levy, B., and McCuen, R. (1999) Assessment of storm duration for hydrologic desig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4, No.3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9)4:3(209)
  14. Ponce, V. M. (1989) Engineering Hydr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Prentice Hall
  15. Pilgrim, D. H. (1987) Australian Rainfall and Runoff - A Guide Flood Estimation-, Institution of Engineers
  16.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5)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No.5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17. Yen, B. C., and Chow, V. T. (1980) Design hyetographs for small drainage structure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106, No.HY6, pp.1055-1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