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iverbed Change Prediction by River-Crossing Structure -Focused on the Major River Reaches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하천 횡단구조물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 -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요 하천구간을 중심으로 -

  • 연규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정상만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윤찬영 ((주)삼안 수자원부) ;
  • 이주헌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신광섭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long-term riverbed change prediction on Geum River and Miho Stream surrounding the planned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the neighboring regions by the construction of a small dam. Based on the analysis of vertical riverbed changes of the cross-sectional data for the years 1988, 2002 and 2007, minimum bed elev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eum River and Miho Stream in 2007 as compared to 1988. Compared to 2002, however, a slight elevation change was observed. To make a long-term prediction on riverbed changes by the construction of a small dam, a one dimensional HEC-RAS 4.0 model has been used. By the fixed bed model test, the water levels were calibrated. By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of 1988 and 2002, verification was conducted under a movable bed model.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s for each scenario with varying height of small dam, minor impact is expected around Miho Stream while major impact is expected around Geum River by 2017, as the small dam height increases. If the small dam is 7m-high, for example, it's been simulated that 1.59m deposition would be expected around the upper stream of Miho Stream Confluence while 1.98m scour would be expected around the downstream of the small dam.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 및 주변지역의 금강과 미호천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하상변동의 실태분석과 수위유지 시설 설치에 따른 장기 예측을 실시하였다. 1988년, 2002년 및 2007년의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대상구간의 종방향 하상변동 실태를 분석한 결과 금강과 미호천 구간 모두 2007년 최심하상고는 1988년에 비해 심한 저하가 발생된 반면 2002년에 비해서는 미소한 변화가 발생되었다. 수위유지시설 설치에 따른 하상변동 장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모형인 HEC-RAS 4.0 모형을 적용하였다. 고정상 모형의 수행을 통하여 수면고를 보정(calibration)하였으며, 1988년과 2002년 횡단자료를 사용하여 이동상 모형에서의 검정(verification)을 실시하였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하여 2017년까지 향후 10년간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에 따른 시나리오별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미호천 대상구간은 그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금강 대상구간은 수위유지시설의 높이가 높을수록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가 7 m일 경우 금강 대상구간은 설치하지 않을 경우보다 미호천합류점 상류부근에서 1.59 m의 퇴적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수위유지시설 하류부근에서 1.98 m의 침식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88) 금강수계 종합정비계획
  2. 건설교통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02) 금강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3. 김현석 (2004) SMS모형을 이용한 보철거 후의 하상변동.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898-902
  4. 김호진 (2005) 안양천 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 예측, 공학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5. 남선우 (1978) 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제11권, 1호, pp. 45-58
  6. 박정응 (1984) 홍수시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7. 안승섭, 이수식, 최윤영, 이증석 (2001). HEC-6모형을 이용한 방사보 철거 전후에 따른 하상변동 특성.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권, 3호, pp. 93-102
  8. 우효섭, 류권규 (1993) HEC-6를 이용한 대청댐 하류의 하상변동 예측.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3권, 5호, pp. 157-163
  9. 이재수, 윤용남 (1995) 한강본류의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대학토목학회 논문집, 제15권, 4호, pp. 875-884
  10. 한국토지공사 (2007) 행정중심복합도시 금강 및 미호천 하상변동조사
  11. Cunge, J.A. and Perdreau, N. (1973) Mobile Bed Fluvial Mathematical Models. La Houille Blanche, Vol. 28, No.7, pp.561-580 https://doi.org/10.1051/lhb/1973041
  12. Holly, F.M.Jr. and Rahuel, J.L. (1990a) New Numerical/Physical Framework for Mobile-Bed Modeling, Part 1: Numerical and Physical Principle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8, No. 4, pp. 401-416 https://doi.org/10.1080/00221689009499057
  13. Holly, F.M.Jr. and Rahuel, J.L. (1990b) New Numerical/Physical Framework for Mobile-Bed Modeling, Part 2: Test Application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8, No. 5, pp. 545-564 https://doi.org/10.1080/00221689009499045
  14. Seo, H.S., Jeong, S.M., Kim, L.H., Choi, K.H. (2008) An Analysis of Streambed Changes Downstream of Daecheong D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8, No. 1, pp. 103-108
  15. Thomas, W.A., Prashun, A.L. (1977) Mathematical Modeling of Scour and Deposition. Journal of the Hydraulice Division, ASCE, Vol. 103, No. HY8, pp. 851-863
  16. USACE (2008)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Hydraulic Reference Manual Ver. 4.0.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17. Yang, C.T. (1986) Numerical Simulation of Bed Evolution in Multi Channel River Systems. Ph. D., Thesis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18. Yang, C.T., Trevino, M.A., and Simoes, F.J.M. (1998) User$\acute{i}$s manual for GSTARS 2.0 (Generalized Stream Tube model for Alluvial River Simulation version 2.0). U.S. Bureau of Reclamation, Technical Servic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