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n Street Plan for a Walking Tour - In the Case of 'Welcome Avenue Project' in Gwacheon -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 - 과천 특화거리 사업 중 '환영의 거리'를 사례로 -

  • Ko, Dong-Wan (Dept. of Tourism and Recreation, Kyonggi University) ;
  • Yu, In-Hye (Dept. of Leisure and Tourism,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 Kim, Hyoun-Jeong (Dept. of Tourism and Recreation, Kyonggi University)
  • 고동완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
  • 유인혜 (경기대학교 대학원 여가관광개발학과) ;
  • 김현정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estimation of econcmic value and the evaluation of attitudes toward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walking tour as a public service in the city of Gwacheon. A value analysis based upon 152 questionnaires returned by the residents of Gwacheon and 175 questionnaires from the users of Seoul Race Park in Gwacheon utilized a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approach to estimate use value, non-use value, and potential value. The results show that 69.8% of residents and 60.0% of Seoul Race Park users had an interest, 81.6% of residents and 89.7% of Seoul Race Park users agreed to the proposed plan, and 67.8% of residents and 69.7% of Seoul Race Park users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y an additional tax or admission fee. The estimated WTP for an additional resident tax per household/year is 11,721 won while it was an additional 750 won per admission for the Seoul Race Park user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estimated total economic value of all households/year and the user group over a period of 5 years is 9,997 hundred million won, which was a doubling of the 1.4 in value of total construction co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walking tour street plan as a public service commodity.

최근 쾌적한 도시환경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급증하면서 많은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지 등의 태도의 평가나 경제적 가치의 추정 등은 미흡한 실정이다. 걷고 싶은 거리는 말 그대로 누구나 보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공공서비스 사업이자 지역 명소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공공재이자 비시장재화이다. 본 연구는 비 시장가치 추정법 중 조건부시장가치법(CVM)에 의해 공공서비스 사업이자 지역 명소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과천시에서 추진 중인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에 대하여 과천시민 152명과 경마공원 이용객 175명을 대상으로 과천시와 경마공원의 이미지 개선효과 등의 분석과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과천시가 제안한 걷고 싶은 거리 사업에 대하여 지역주민의 69.8%와 경마장 이용자의 60%가 관심을 나타냈고, 지역주민의 81.6%와 이용자의 89.7%가 찬성하였으며, 지역주민의 67.8%와 이용자의 69.7%가 세금 또는 입장료의 지불의사를 나타냈다. 또한, 5년간 지역주민은 가구당(연간) 11,721원의 세금을, 이용자 집단은 750원의 입장료를 추가적으로 지불할 의사가 있어서 전체적으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은 총사업비의 약 1.4배에 해당하는 9,997백만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공재로 제공되는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 평가와 기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소윤, 이주석, 유승훈(2008)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생태체육공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 추정. 한국재정정책학회 재정정책논집 10(1): 257-276
  2. 곽송훈, 조승국, 유승훈 (2002) 한려해상국립공원 보존의 정제적 가치: 조건부 가치측정법 (CVM) 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50(2): 85-104
  3. 권오상(2000) 환경경제학, 서울; 박영사
  4. 김사헌 (2004) 신관광경제학. 서울: 백산출판사
  5. 김윤재 (2008) 친환경적 도심재썽을 위한 가로공원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원규, 김유일, 안진성(2002) 도시소공원 이용행태 및 만족도 평가. 산업기술연구논문집 10: 51-61
  7. 박인숙, 김정학, 김재준(2008) 아파트의 주거만족과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9): 57-64
  8. 신백수(2006) 문화예술축제의 경제적 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200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심준영 (2006) 공공 서비스로서 도시 공원 . 녹지의 평가.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양재준 (2007) 고령자의 여가공간으로서 공원이용 실태와 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1(2): 83-104
  11. 오현재 (1992) 도시 보행공간 서비스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정훈(2004) CVM 이용한 청계천 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윤희정, 김혜민 (2006) CRM올 이용한 친환경농업의 경관가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4(1): 37-47
  14. 윤회정, 변재상, 김인호(2008) 학교숲 속성별 가치평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 29-38
  15. 이회찬(2002) 해오라기의 가치평가: 양분선택형 조건부 시장가치 평가법의 적용. 관광학연구 25 (4): 127-142
  16. 최영문, 박창규(1998) 도시자연공원의 자원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가상적 가치추정법 (CVM) 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12: 421-436
  17. 한상현, 조광익(2006) 산악 국립공원의 비 시장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주왕산 국립공원에 대한 개인별 여행비용모형의 적용. 관광연구 21(1): 113-129
  18. 허중욱(2005) CVM을 이용한 비시장 관광자원의 가치추정: 개방형 질문의 정보편의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19(3): 369-378
  19. 허중욱(2006) CVM을 이용한 지불수단별 비시장 관광자원의 가치추정 : 경포도립공원을 사례로. 호텔관광연구 20: 133-146
  20. 홍성권(1998) 여의도공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이단계 이선 가상가치 추정법을 적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26(3): 90-103
  21. 황기원(1995) 책같은 도시, 도시같은 책. 서울: 열화당
  22. Arrow, K., R. Solow, P. R. Portney, E. E. Leamer, R. Radner and H. Schuman(1993)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rnerce, Washington D.C
  23. Bishop, R. and T. Heberlein(1979) Measuring values of extra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s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1: 926-930 https://doi.org/10.2307/3180348
  24. Bishop, R. C., P. A Champ and D. J. Mullarkey(1995) Contingent Valuation. Daniel W. Bromley ed. Handbook of Environrnental Economic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25. Blamey, Rusell K. (1998) Decisiveness, attitude expression and symbolic responses in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34: 577-601 https://doi.org/10.1016/S0167-2681(97)00108-X
  26. Carson, R. T.(1997) Contingent valuation: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since the NOAA panel.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cmics 75 (5): 1501-1507
  27. Ciriacy-Wantrup, S. V.(1947) Capital returns from soil- conservation practic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 1181-1196 https://doi.org/10.2307/1232747
  28. Davis, Robert K.(1964) The value of bid game hunting in a private fores. Transactionns of the Twinty-Ninth North American WIIdlife and Natural Resources Conference 29
  29. Foresta, R. A. (1980) Elite values, popular values, and open space polic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6(4): 449-456 https://doi.org/10.1080/01944368008977077
  30. Hoehn, J. P. and A. Randall(1987) A satisfactory benefit cost indicator from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4: 226-247 https://doi.org/10.1016/0095-0696(87)90018-0
  31. Jacoby and D. B. Kyner(1973) Brand loyalty vs. repeat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 1-9 https://doi.org/10.2307/3149402
  32. Kosciulek, J. F. and M. A. Merz(2001) Structural analysis of the consumer-directed theory of empowerment. Rehan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4(4): 209-216 https://doi.org/10.1177/003435520104400403
  33. Mitchell, R. C. and R. T. Carson (1989)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 C
  34. Preiser, W. F .. H. Rabinowitz and E. White(1988) Post-Occupancy Evaluation.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35. Seller, C., J. R. Stoll, and J. P. Chavas(1985) Validation of empirical measures of welfare change: a comparison of nonmarket teclmiques. Land Economics 61(2): 156-175 https://doi.org/10.2307/3145808
  36. Walsh, R. G .. J. B. Loomis and R. A. Gillman(1984) Valuing option, existence and bequest demands for wilderness. Land Economics 60: 14-29 https://doi.org/10.2307/3146089
  37. Ward, F. A. and D. Beal(2000) Valuing Nature with Travel Cost Models: A Manual, Edward Elgar
  38. Welsh, M. P. and G. L. Poe(1998) Elicitation effects in contingent calculation: Comparisons to a multiple oounded discrete choice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6: 170-185 https://doi.org/10.1006/jeem.1998.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