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ory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an Ethnography: Constituting a Family beyond the Multiple Boundaries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문화기술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

  • Received : 2008.11.05
  • Accepted : 2009.01.29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Due to the change of socio-cultural conditions, family dissolving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are also increasing rapidly and many show deep concern at this phenomenon.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were approached through policy-makers' and professionals' perspective, not through insiders' view. The purpose of this ethnographic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makings of grandmothers who are raising grandchildren. 22 narrative interviews with 10 grandmoth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ultural theme in rasing experiences of grandmothers is 'Constituting a family beyond the multiple boundaries'. This theme include four cultural meanings: 'Recunstuction of everyday life beyound boundaries', 'Boundary of relative poverty more rigid than boundary of absolute poverty', 'Compromising constantly with normal culture having both inclusion and exclusion' boundaries', 'Having aspiration toward crossing the boundaries'. The policiy-makers and practitioners for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should recognize the experiences and meaning-making of these families and should perform culturally perceptible and family-centered policies and practices.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가족 해체의 대안으로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다시 짚어보아야 할 것은 조손가족이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이다. 조손가족에 대한 접근은 정책결정자나 전문가의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왔으므로 조손가족구성원들의 당사자 시각은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반성에 기초하여, 조손가족 조모들의 양육 경험의 의미를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10명의 조손가족 조모들을 정보제공자로 하여 수집한 자료 분석 결과 조모들의 경험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라는 문화적 주제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족이 하나의 가족 체계로서 갖는 가치를 수용하고 이 체계의 고유성을 강화하고 보존하며, 조모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양육 기능을 더욱 계발하고, 조모와 손자녀 중간세대와의 연결을 꾀하는 실천적,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