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산제일광산 광미 매립지의 매립 심도에 따른 광물 변화 및 중금속의 거동

Mineralogy and the Behavior of Heavy Metals at Different Depths in Tailing Impoundment of the Samsanjeil mine

  • 발행 : 2009.09.30

초록

경남 고성군에 위치한 삼산제일 광산은 28만 톤으로 추정되는 광미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는 인근 주민들의 이타이이타이 증세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광미 매립지의 두 장소에서 매립 심도별로 채취된 광미시료에 대하여 광물학적 분석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NN과 SN 두 지점에서 약 1 m 정도의 심도로 깊이별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NN 지점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pH가 감소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SN 지점의 경우 깊이에 따라 pH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XRD 분석 결과 본 광미 시료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미사장석, 백운모, 녹니석으로 거의 비슷한 산출 상태를 보였으며, 부수적으로 석고가 동정되었다. 분석한 4개의 시료에서 동정된 구성광물들은 거의 유사하나 NN 지점의 경우 방해석이 거의 동정되지 않았고, pH 4 이하의 산성토양 혹은 산성광산배수에 서 형성되는 자로사이트가 부수적으로 동정되었다. SN 지점은 상대적으로 방해석 함량이 많음이 관찰되었고 황철석도 동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pH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방해석의 존재 및 이의 용해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판단된다. 광미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Cu > As > Zn > Pb > Co > Cr > Ni > Cd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지점의 중금속 함량은 pH의 변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은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양이온으로 존재하는 Cd와 Co의 경우 pH가 낮은 NN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함유량을 보이며 산화음이온으로 존재하는 Cr과 As의 경우 상대적으로 pH가 높은 SN 지점에서 함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의 중금속의 거동은 광미에 포함되어 있던 방해석에 의한 pH 완충작용에 주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Gosung, the symptoms similar to itai-itai disease from neighboring residents of the Samsanjeil mine have been social issues. Therefore, various researches on the behavior of heavy metals of the tailings impoundment of 280,000 ton in the Samsanjeil mine are required. In this paper,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tailings at different depths in the Samsanjeil mine were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on the behavior of heavy metals were also studied. At two sampling sites (NN and SN), sample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depths down to 1 m. At NN sites, pH values decreased with depth, while those at SN site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minerals in the tailings were quartz, microcline, muscovite, and chlorite with minor amount of gypsum. There were no noticeable changes in the mineral composition with depth. At NN sites, the amount of calcite was negligible, and jarosite, which usually occurs at acid soil or acid mine drainage at pH lower than 4, was identified. However, the samples at SN site contained relatively high contents of calcite with pyrite. Therefore, calcite seemed to buffer the acid and control pH at SN si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ailings were in the order of Cu > As > Zn > Pb > Co > Cr > Ni > Cd.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tailings were closely related with pH changes. The concentrations of Cd and Co were much lower at NN site at which pH values are low than those at SN sites. Contrary to that, Cr and As which exist as oxyanions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at SN site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behaviors of heavy metals in our study area were controlled by pH which is influenced by the contents of calcit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주, 이평구, 최상훈, 산성천 (2003) 서보광산 폐광석 내 2 차 광물에 의한 중금속 고정화, 자원환경지질, 36, 177-198
  2. 김순오, 정영일, 조현구 (2006) 삼산제일 . 삼봉 동광산 주변수계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한국광물학회지, 19, 171-187
  3. 김민정, 김영규, 박경심, 전상호 (2008) 봉화군 일대 낙동강변에 퇴적된 광미의 풍화에 따른 광물학적 변화. 한국광물학회지, 21, 331-339
  4. 김종욱, 문희수, 송윤구, 유장한 (1999) 구봉광산 일대광미, 하상퇴적물 및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원소의 존재 형태. 자원환경지질, 32, 261-271
  5. 김준영, 유충석, 최승원, 장윤득, 김정진 (2008) 의성 옥동광산 광미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1, 297-305
  6. 대한광업진흥공사 (1981) 한국의 광상 제 8호(금속편), p. 100-104
  7. 문용희, 김정연, 송윤구, 문희수 (2008) 구룡광산 광미층의 섬도변화에 따른 물리 . 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41, 183-199
  8. 문용희, 문희수, 박영석, 문지원, 송윤구, 이종천 (2003) 덕음광산 광미의 산화 . 환원 조건에 따른 전이원소의 이동성, 자원환경지질, 285-293
  9. 연규훈, 이평구, 염승준, 최상훈 (2005) 삼산제일광산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오염 및 이동도. 자원환경지질, 38, 451-462
  10. 이지은, 김영규, 추창오 (2003) 달성 폐광산의 침출수 및 갱내 유출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비교. 지질학회지, 39, 519-533
  11. 이평구, 조호영, 염승준 (2004a)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 화학적 접근방법. 자원환경지질, 37, 35-48
  12. 이평구, 강민주, 최상훈, 신성천 (2004b) 광미 및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잠재적인 이동도. 자원환경지질, 37, 87-98
  13. 정기영, 이병윤, 이석훈 (2000) 다덕광산 폐석내 섬아연석, 능망간석, 함망간 방해석의 화학적 풍화작용과 Zn, Mn, As의 지구화학적 거동. 한국광물학회지, 13, 73-83
  14. 정기창 (1970) 삼산제일광산 S.P.탐사 및 시추결과 종합보고. 광산지질, 3, 223-229
  15. 조현구, 장병준, 김순오, 추창오 (2006) 고성군 삼산면 삼산제일광산과 삼봉광산 주변 하천 침전물에 관한 예비 연구. 19, 129-138
  16. 최상훈, 소칠섭, 권순학, 최광준 (1994) 경산분지 내 삼산지역 열수동광산에 관한 지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27, 47-160
  17. Alloway, B.J. (1994) Heavy metals in soils (2nd Ed.), Springer, 384p
  18. Bigham, J.M., Schwertmann, U., Traina, S.J., Windland, R.L., and Wolf, M. (1996) Schwertmannite and the chemical modeling of iron in acid sulfate waters Geocheim. Cosmochim. Acta, 60, 2111-2121 https://doi.org/10.1016/0016-7037(96)00091-9
  19. Chuan, M.C., Shu, G.Y., and Liu, J.C. (1996) Solubility of heavy metals in a contaminated soil: effects of redox potential and pH. Water, Air, Soil Pollut., 90, 543-556 https://doi.org/10.1007/BF00282668
  20. Dold, B. and Fontbote, L. (2002)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of element mobility in sulfide mine railings of Fe oxide Gu-AI deposits from the Punta del Cobre belt, northem Chile. Chem. Geol., 189, 135-163 https://doi.org/10.1016/S0009-2541(02)00044-X
  21. Frau, F. (2000) The formation-dissolution-precipitation cycle of melanterite at the abandoned pyrite mine of Grnna Luas in Sardinia, Italy: environmental implications. Mineral. Mag., 64, 995-1006 https://doi.org/10.1180/002646100550001
  22. Kabata-Pendias, A. and Pendias, H. (2000)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432p
  23. Lee, J.E. and Kim, Y. (2008) A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pH changes using simple geochemical data from acid mine drainage. Environmental Geology, 55, 65-75 https://doi.org/10.1007/s00254-007-0965-6
  24. Linsay, W.L. (1979) Chemical Equilibria in soils. John Wiley and Sons, Inc. 449p
  25. Mascaro, I., Benvenuti, B., Corsini, F., Costagliola, P., Lattanzi, P., Parrini, P. and Tanelli, G. (2001) Mine wastes at the polymetallic deposit of Fenice Capanne (southem Tuscany, Italy). Mineralogy, geochemistry, and environmental impact. Environ. Geol., 41, 417-429 https://doi.org/10.1007/s002540100408
  26. McGregor., R.G., Blowes, D.W., Jambor, J.L., and Robertson, W.D. (1998) The soild-phase controls on the mobility of heavy metals at the Copper Cliff tailings area, Sudbury, Ontario, Canada. Contam. Hydrol., 33, 247-271 https://doi.org/10.1016/S0169-7722(98)00060-6
  27. Moon, Y., Song, Y., and Monn, H.S. (2008) The potential acid-producing capacity and factors controlling oxidation tailing in the Guryong mine, Korea. Environmental Geology, 53, 1787-1797 https://doi.org/10.1007/s00254-007-0784-9
  28. Parks, G.A. (1990) Surface energy and adsorption at minera-water interfaces: An introduction. In: Hochella, M.F. Jr. and White A.F. (eds.), Mineral-Water Interface Geochemistry, Revews in Mineralogy, Vol. 23, Mineral. Soc. America, 133-175
  29. Shaw, S.C., Groat, L.A., Jambor, J.L., Blowes, D.W., Hanton-Fong, C.J., and Stuparyk, R.A. (1998) Mineralogical study of base metal tailings with various sulfide contents, oxidized in laboratory columns and field Iysimeters. Environ. Geol., 332-3, 209-217
  30. Thomton, I. (1983)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Academic Press, London, 501p
  31. Xian, Z. and Shokohifard, G.I. (1989) Effect of pH on chemical forms and plant availability of cadmium, zinc, and lead in polluted soils. Water Air Soil Pollut., 45, 265-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