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Receiver Model for T-DMB Location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T-DMB 국지적 자동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수신 모델

  • 권성근 (삼성전자 DMC 부문 문선사업부) ;
  • 전희영 (문화방송 기술연구소) ;
  • 이석환 (동명대학교 정보보호과) ;
  • 권기룡 (부경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emergency warning system operation based on T-DMB and the design of T-DMB AEAS receiver model. The proposed receiver model compares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emergency with the location of DMB transmitting station from T-DMB broadcasting signal and classifies the receiver location into alert region, neighboring region and non-alert region and transmits the emergency alert message according to each region.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emergency can be obtained from FIG 5/2 EWS data field for AEAS message and the location of DMB transmitting station can be estimated from either the latitude and the longitude in main identifier and sub identifier in FIG 0/22 data filed for TII(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II distribution database. In our experiment, we implemented the proposed receiver model with display section, storage section, DMB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control section and performed test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using T-DMB signal generator.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자동재난경보방송을 위하여 T-DMB 기반의 재난 정보 운영 방법과 이를 위한 T-DMB AEAS 수신 모델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수신 모델에서는 T-DMB 방송 신호에 포함된 지리 정보와 DMB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용자 수신 지역을 재난지역, 인접지역 및 미경보지역으로 구문한 다음 각 지역에 따라 재난경보를 전송한다. 이 때 재난지역의 지리정보는 T-DMB 방송 신호 내에 FIG 5/2 EWS의 AEAS 메시지 내에서 얻어지며, DMB 기지국 위치 정보는 FIG 0/22의 TII 신호 내에 주 식별자와 보조 식별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TII 배분표를 이용하여 예측된다. 본 실험에서는 제안한 수신 모델을 화면부, 저장부, 방송 수신 모듈에 해당되는 DMB 모듈 및 제어부로 나누어 구현한 다음, T-DMB 신호발생기를 이용한 테스트 재난경보방송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TSI EN 300 401, v.1.4.1, Radio Broadcasting System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Jan. 2006
  2. 정보통신단체표준, 지상파 디지털멀티디어방송 (DMB) 송수신 정합 표준, TTAS.KO-07. 0024/ R1, 2007년 6월
  3. S.J. Choi, 'Design of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 Part 1 Requirements Analysi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2(3), pp. 230-41, May, 2007 https://doi.org/10.5909/JBE.2007.12.3.230
  4.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강태욱, 함영권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송 표준설계:Part1 요구사항 분석', 방송공학회논문지, 12(3),pp. 230-241, May, 2007
  5.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강태욱, 함영권,'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송 표준설계: 제2부 서비스 모델, 전송 채널, 서비스 시그널링',방송공학회논문지, 12(6), pp. 630-640, Nov., 2007
  6. S.J. Choi, 'Analysis of Emergency Alert Service and System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pp.657-662, 2007
  7. TTA, Inerface Standard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TTAS.KO-07.046, Dec., 2006
  8. ITU-R, Use of satellite and terrestrial broadcast infrastructures for public warning, disaster mitigation and relief, Recommendation ITU-RBT.1774-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