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 between Genre and Image Expression Technique of TV Drama

TV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 박덕춘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With the increase of weight and influence of TV drama, many researchers began to publish papers on TV drama. However, those papers were mainly focused on social meaning and viewing motives and attitudes of TV audience. However, only a few papers researched about television image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TV ratings and image production techniques', 'Transition process of TV drama's imag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mparison of TV and film image production techniques'.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V ratings and image production techniques, TV rating is inverse proportionate to multiple camerawork and shot average duration with a very clos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V genre and image production technique with the data of top 100 of TNS Media Korea from the year 2004 to 2008. This paper found out that history drama uses more closeup, longshot, tracking and less waist shot than other genres, with shorter shot duration and longer scene duration.

방송에서 TV 드라마의 비중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TV 드라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시청동기, 수용행태 등에 관한 수용자 연구와 드라마 서사구조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한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TV 드라마의 영상제작기법과 연관된 연구는 시청률과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 시대별 영상제작기법 변천과정, 영화와 TV드라마의 영상제작기법 비교 등과 같은 제한된 수의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드라마의 내용과 영상제작기법의 관계를 조명한 연구는 전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편성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 측면에서도 그 비중이 커지고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표본 추출을 위하여 TNS 미디어 코리아에서 제시한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간 '시청률 톱 100' 자료를 바탕으로, 이 기간 동안 방송된 역사드라마, 멜로드라마, 홈드라마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를 각 장르별로 5편씩 총 15편의 드라마에서 8,210개 샷들을 추출하여 이들의 영상제작기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드라마에서는 홈드라마나 멜로드라마에 비해 클로즈업과 롱샷 그리고 트래킹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짧은 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홈 드라마와 멜로드라마에서는 역사드라마에 비해 웨이스트샷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긴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설진아, 방송기획제작의 기초,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 권중문, "TV 드라마의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한국사진학회, 2005.
  3. 박덕춘, "매체의 특성이 영상콘텐츠의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영화와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 9권, 2006.
  4. 박덕춘, "TV 드라마의 시청률과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9호,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9.066
  5. 배진아, "드라마 시청률 영향요인 분석", 한국방송학보, 19권, 2호, 270-309, 2005.
  6. H. Brosius, M. Wober, and G. Wiemann, "The Loyalty of television viewing: How consistant is TV viewing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6, No.3, pp.321-325, 1992. https://doi.org/10.1080/08838159209364180
  7. J. G. Webster and G. D. Newton, Structural determinants of television news audienc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2, No.4, pp.381-389, 1988. https://doi.org/10.1080/08838158809386710
  8. R. Y. Darrnon. Determinants of TV view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6, No.6, pp.17-20, 1976.
  9. S. Youn, Program type preference and program choice in rrrultichannel situ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8, No.4, pp.465-475, 1994. https://doi.org/10.1080/08838159409364279
  10. 김은미, 이준웅, 심미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품질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4호. pp.323-397, 2004.
  11. 이화진, 김숙. "TV 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21권, 6호, 2007.
  12. P. Ward,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 Oxford: Focal Press, 1999.
  13. 심길중, 텔레비전 제작론, 한울아카데미, 1996.
  14. 최이정, 영상제작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5. H. Zettl, Sight, Sound, Motion: Applied Media Aesthetics (3rd ed.), Wardsworth Publishing Co., 1999.
  16. 박치형, ENG&캠코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7. 이재경, 현장촬영 노하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8. Philippe Perebinossoff, Brian Gross, Lynne S. Gross, Programming for TV, Radio & The Internet strategy, development, evaluation, Focal Press. pp.18-19, 2005.
  19. 강호진, "텔레비전 역사 드라마의 영상스타일 연구" - MBC <동의보감>과 <허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Cited by

  1. Skin Color Based Hand and Finger Detection for Gesture Recognition in CCTV Surveillance vol.11, pp.1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