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Polyphonic Narrative of

시각화전략을 통한 <지구를 지켜라>의 다성적 내러티브 구축

  • 김병정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e narrative in the post modern age specially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There has been discussions in digital story telling on the format where the audience directly get involved in the plot and change it. However, relevant research has a problem that makes it hard to be applied to unilateral narrative analysis. However, in this context, Save the Green Planet utilizes the narrative that emphasizes the role of the audience while keep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Save the Green Planet is read in a monophonic manner by the audience. The audience is led, through different voices provided by the movie, to create another plot that is restructured by themselves other than the explicit plot.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narrative of Save the Green Planet restructure a new plot, and examine the restructured narrative between the interaction of the two plots.

포스트 모던 시대의 내러티브는 고전적인 일방향 소통방식에 비해 작가와 수용자의 관계를 특별하게 변화시켰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에서는 수용자가 플롯에 직접 관여하여 내러티브를 변화시킬 수 있는 형식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일방향적 내러티브 분석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가운데 <지구를 지컥라>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용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내러티브를 활용하고 있다. <지구를 지켜라>의 내러티브는 관객들에게 다성적으로 읽힌다. 관객들은 영화가 제공하는 서로 다른 목소리를 통해서 표면적인 이야기 외에 스스로가 재구성한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도록 유도 받는다. 이 글에서는 <지구를 지켜라>의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어떻게 관객들에게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해내도록 하는지 살펴보면서, 두 가지 이야기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축된 내러티브를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의 내레이션2, 시각과 언어, pp.28-44, 2007.
  2. 이지행, "영화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127, 2007.
  3. 김영주, 류철균, "다중플롯 영화의 서사구조-<내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여름호, pp.55-76, 2007.
  4. 류현주, "수용자 관점에서 본 쌍방향 내러티브", 신영어영문학, 31집, p.41, 2005.
  5.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의 내레이션1, 시각과 언어, pp.96-113, 2007.
  6. '영화에 쓰인 반전의 기법 & 실패한 반전들', "씨네 21", No.38, 2006.
  7. 오정연, "한국영화10년, <씨네21> 10년", 씨네21, No.500, 2005.
  8. 유운성, "<지구를 지켜라>를 격찬할 수밖에 없는 이유", 씨네21, No.399, 2003.
  9. K. 클라크 and M 홀퀴스트, 미하일 바흐친 전기, 문학세계, pp.208-226, 1993.
  10.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5.
  11. 조셉 프랑크, 바흐친과 문화이론, 문학과지성사, pp.26-31, 1995.
  12. 류현주, "수용자 관점에서 본 쌍방향 내러티브", 신영어영문학, 31집, pp.43-45, 1995.
  13. 박진, "정신분석 내러티브의 새로운 영역", 국제어문, 제42집, pp.482-489. 2008.
  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l=001&oid=263&aid=0000000181
  15. 김용희, "역사 기억을 영화화하는 몇 가지 방식", 문학과 영상,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