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wer Relationship of Gaze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Super-panopticon as Multi-networks Supervision

다망감시로써의 슈퍼 파놉티콘을 통한 현대사회의 시선의 권력관계

  • 구운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상학과)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What Michel Foucault has interpreted about Jeremy Bentham' Panopticon in the point of power relationship of ones's gaze is put in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modern media and mutual meanings are interpreted in the respect of a power relationship of modern gaze. Modern people communicating through media are placed in certain type of power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it in the respect of the power of gaze in Panopticon and the consumption of information. Panopticon assumes single-network supervision, that is, one-way gaze. However, in modern media,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possible based up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study modern single-network supervision and multi-networks supervision based on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such as internet, mobile phone and smart card has changed the single-network supervision system structured since modern times into the multi-network supervision system. 'Gaze-power' presented in the relationship to media enables us to discuss the problem of mutual receptiveness, the presence of various powers according to information structure and consumption power. In particular, the form provided by modern media has the complexity of mutual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of multi-networks, rather not assuming only one-way nature of single-network. Therefore, the approach of communication issue provided by modern media in the respect of multi-networks relationship was done by the power relationship of gaze in the resp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Gaze determines the power of watching. 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format aims at the power.

이 연구는 미셀 푸코(Mchel Foucault)가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의 파놉티콘(Panopticon)을 시선의 권력관점으로 해석한 것을 통해 현대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비교하여, 상호간의 의미를 현대의 시선적 권력 관계로 해석하였다.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현대인들이 어떠한 권력관계 속에 놓여 있으며, 그것이 파놉티콘의 시선의 권력과 정보소비의 관점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게 되는지도 분석하였다. 파놉티콘은 일망 감시 즉, 시선의 일방향성을 전제한다. 하지만 현대의 미디어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쌍방향성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 일망감시와 다망감시 체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휴대폰,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의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은 근대 이후로 구조화된 일망감시의 체계를 다망감시체계로 변화시켜 놓았다. 미디어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시선-권력'은 상호 수용의 문제, 정보의 구성에 따른 다양한 권력성, 그리고 소비 권력을 논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현대 미디어가 제공하는 형식은 일망적 일방향성만을 전제한다기보다는 다망의 관계 속에서 상호소통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미디어가 제공하는 소통의 문제를 다망의 관계로 접근하는 것도 시선의 권력관계를 정보 소통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시선은 바라봄의 권력을 결정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승권, 디지털 권력, 삼성경제연구소, pp.29-31, 2007.
  2. 제러미 벤담, 신건수 옮김, 파놉티콘, 책세상, p.11, 2007.
  3. 홍성욱,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p.23, 2008.
  4. 홍성욱,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pp.22-23, 2008.
  5. http://eppinggreen.tistory.com/1
  6. http://icam.icam.co.kr/customer/news/index.jsp?menu=view&board_idx=150
  7. http://www.ibga.co.kr/news/news_contents.php?no=1899
  8. http://www.cine21.com
  9. 이진혁, 김현석, "푸코의 권력이론과 파놉티콘을 통한 '미니홈피'의 권력요소 분석", Vol,10, No.3, p.367, 2009.
  10. 장승권, 디지털 권력, 삼성경제연구소, pp29-31, 2007.
  11. 마크포스터, 김성기 옮김, 뉴미디어의 철학, 민음사, pp.176-177, 1994.
  12. 두산백과사전
  13. 홍성욱,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p.100. 2008.
  14. Mark Poster, "Database as Discours, or Electronic lnterpolations," in Paul Heelas ed., Detraditionanlization : Critical Reflections on Authority and Identity(Cam -bridge, Mass.: Blackwell, 1996), pp.277-293, 1996.
  15. http://imnews.imbc.com/news/further/index.asp?pageUrl=http//imnews.imbc.com//news/further/society/2123419_2906.html
  16. 매일경제, 2009년 4월 14일
  17. http://blog.naver.com/rockey4?Redirect=Log&logNo=130014817516
  18. 홍성욱,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p.10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