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FSGS do not respond well to any kind of therapy and gradually progress to end-stage renal dis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otein expression between MCNS and FSGS as a preliminary study for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of FSGS. Methods : Renal biopsy samples of MCNS and FSGS were obtained, which was diagnosed by one pathologist. They were solubilized with a conventional extraction buffer for protein extraction. The solution was applied on immobilized linear gradient strip gel (pH 4-7) using IPGphor system. Silver staining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standard method. Protein identification was done by searching NCBI database using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software. Results : The differences in protein expressions between MCNS and FSGS were shown by increased or decreased protein spots. Most prominently expressed spot among several spots in FSGS was isolated and analyzed, one of which wa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1-1, whereas it was not found in MCNS. So GSTP1-1 was considered as the one of the key biomarkers in pathogenesis of FSGS. Conclusion :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in diagnosing FSGS and researching FSGS. Further studies for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might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mechanisms regarding FSGS.
목적 :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들은 어떤 종류의 약물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점차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사이의 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들에 대해 2차원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체로 분리한 후 실버 염색을 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결과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에서 서로 상반된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중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발현되는 부위를 잘라내어 단백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서만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단백질이 발현 되었다. 결론 : 상기 결과는 비록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태생리를 알기 위한 기초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은 향후 질병의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소견으로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