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o, to sugges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xtracts risk influence factors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builds the weighting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factors. And risk of trade is calculated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risk.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s suggested by integrating risk influence factors and risk of trade. From this, risk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s can be derived and based on the derived risk,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has meaning for assessing the risk which can reflect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동부. (2000). 산업안전보건법 제 4조 제 1항 제 7호
  2. 노동부. (2007) 2007년 산업재해현황분석, pp.1-12
  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999). 건설공사 종류별 위험도 조사 및 정량화 지수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4. 고성석, 송혁, 이재용. (2004).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5) pp. 137-144
  5. 고성석, 송혁, 이한민. (2005). '재해사례와 위험도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1(6) pp. 113-120
  6. 김만장. (2003).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한 건설안전교육의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39-45
  7. 김은정, 신동우, 김경래. (2008).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9(5), pp. 116-126
  8. 이민우, 이찬식. (2000). '건설공사의 위험도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16(5) pp. 105-112
  9. 이종빈, 고성석, 장성록. (2006). '중대재해사례와 작업강도를 고려한 건축공사 위험성 평가' 한국안전학회지, 21(4), pp. 102-107
  10. 손창백, 김상철. (2005). '기후요소가 건설안전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2), pp. 91-96
  11. 장성록, 고성속, 이종빈. (2007).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2(6), pp. 63-68
  12.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1996). 'Guide to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BS 8800, London
  13.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2000).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OHSAS 18001.', OHSAS 18002, London
  14. Heinrich, H. W. (1939).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ill, New York
  15.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Assurance Standard. (1984). System safety program requirements , MILSTD-882B
  16. Baradan S. and Usmen, M.A. (2006). 'Comparative Injury and Fatality Analysis of Building Trades', J. Constr. Eng. Manage., 132(5), pp. 533-539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6)132:5(533)
  17. Chua D.K.H. and Goh Y.M. (2005). 'Poisson Model of Construction Incident Occurrence.' J. Constr. Eng. Manage., 131(6), pp. 715-722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6(715)
  18. Hinze J. and Gambatese J. (2003). 'Factors That Influence Safety Performance of Speciality Contractors' J. Constr. Eng. Manage., 129(2), pp. 159-16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3)129:2(159)
  19. Jannadi O. A., and Almishari S.(2003).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J. Constr. Eng. Manage., 129(5), pp. 492-499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3)129:5(492)
  20. Mohamed S. (2002).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J. Constr. Eng. Manage., 128(5), pp. 375-38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2)128:5(375)
  21. Seo J. W. and Choi H. H. (2008). 'Risk-Based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J. Constr. Eng. Manage., 134(1), pp. 72-8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8)134:1(72)
  22. Suraji A., Duff A. R., Peckitt S. J. (2001) 'Development of Causal Model of Construction Accident Causation', J. Constr. Eng. Manage., 127(4), pp. 337-34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4(337)
  23. Toole, T. M. (2002). 'Construction site safety roles.', J. Constr. Eng. Manage., 128(3), pp. 203-210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2)128: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