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acy of I-123/I-131 Metaiodobenzylguanidine Scan as A Single Initial Diagnostic Modality in Pheochromocytoma: Comparison with Biochemical Test and Anatomic Imaging

갈색세포종의 초기 진단에서 I-123/I-131 Metaiodobenzylguanidine 스캔의 단일 검사로써의 진단 성능: 생화학적 검사, 해부학적 영상과 비교

  • Moon, Eun-Ha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 Lim, Seok-T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 Jeong, Young-J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 Kim, Dong-Wo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 Jeong, Hwan-J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 Sohn, Myung-He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Hospital)
  • 문은하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 임석태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 정영진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 김동욱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 정환정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 손명희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Purpose: We underwent this study to evaluate the diagnostic potential of I-123/I-131 metaiodobenzylguanidine (MIBG) scintigraphy alone in the initial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compared with biochemical test and anatomic imaging. Materials & Methods: Twenty two patients (M:F=13:9, Age: $44.3{\pm}\;19.3$ years) having the clinical evaluation due to suspicious pheochromocytoma received the biochemical test, anatomic imaging modality (CT and/or MRI) and I-123/I-131 MIBG scan for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prior to histopathological confirmation. MIBG scan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by 2 nuclear medicine physicians. Results: All patients were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by operation or biopsy (incisional or excisonal). In comparison of final diagnosis and findings of each diagnostic modality, the sensitivities of the biochemical test, anatomic imaging, and MIBG scan were 88.9%, 55.6%, and 88.9%, respectively. And the specificities of the biochemical test, anatomic imaging, and MIBG scan also were 69.2%, 69.2%, and 92.3%, respectively. MIBG scan showed one false positive (neuroblastoma) and one false negative finding. There was one patient with positive MIBG scan and negative findings of the biochemical test, anatomic imaging.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I-123/I-131 MIBG scan has higher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than those of biochemical test and anatomic imaging. Thus, we expect that MIBG scan is e tectively used for initial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alone as well as biochemical test and anatomic imaging.

목적: 본 연구는 갈색세포종의 수술 전 초기 진단에서 MIBG 스캔이 생화학적 검사나 해부학적 영상, 각각의 진단방법과 이 두 가지 진단 방법을 함께 이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어떠한 진단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상및방법: 환자군은 2004년 4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임상적으로 갈색세포종이 의심되어 본원에 내원한 총 22명의 환자(남:여=13:9, 평균나이: $44.3{\pm}\;19.3$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들은 진단을 위해 생화학적 검사(24 시간 뇨의 VMA, 메타네프린, 뇨와 혈장의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와 해부학적 영상검사(CT 또는 MRI), I-123/I-131 MIBG 스캔을 모두 시행하고 조직학적으로 최종 확진이 이루어졌다. 결과: 각각의 진단방법에 대한 예민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를 구하여 그 수치를 비교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생화학적 검사는 88.9%, 69.2%, 66.7%, 90.0%, 77.3%, 해부학적 영상은 55.6%, 69.2%, 55.6%, 69.2%, 63.6%로 나타났으며, 위의 두 검사를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88.9%, 61.5%, 50.0%, 83.3%, 59.1% 이었다. 이에 비해 I-123/I-131 MIBG스캔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는 88.9%, 92.3%, 88.9%, 92.3 %, 90.9%로 나와서 생화학적 검사와 해부학적 영상을 각각 이용한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수치가 높았고, 두 가지 검사를 함께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는 높고 예민도는 같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갈색세포종의 수술 전 초기진단에 있어서 생화학적 검사나 해부학적 영상뿐만 아니라 MIBG 스캔도 단일 검사로써 충분히 유용한 진단적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며, MIBG의 기능적 영상정보에 CT의 해부학적 영상정보를 함께 융합할 수 있는 SPECT/CT나 교감신경계에 섭취될 수 있는 PET tracer를 이용한 PET/CT를 사용한다면 갈색세포종에 대한 진단 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