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792년에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步天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ew Pochonka Published in A.D. 1792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연구센터)
  • 발행 : 2009.12.15

초록

1792년 조선에서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는 기존 보천가(步天歌)의 가결(歌訣)을 약간 수정하고 여기에 중국의 새로운 항성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성립된 성도(星圖)를 합하여 작성된 것이다. 기존의 조선(朝鮮) 보천가(步天歌)의 배열 순서는 송대(宋代)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랐으나, 이 보천가(步天歌)는 명대(明代) 이후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르고 있다. 이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에서 자미원(紫微垣)은 12차(次)와 12진(辰)를 사용하여 구획하고 있고, 28숙(宿)는 3개나 4개씩 묶어서 그리되 각 그룹은 12진(辰)으로도 영역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28숙(宿)의 가결(歌訣)에는 기존의 조선 성도(星圖)들과 마찬가지로 황도십이궁을 채용하고 있다. 각 성도(星圖)는 그 적경 범위 안에 들어있는 모든 별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 원(垣)이나 숙(宿)에 소속된 별자리만을 그렸다. 이 보천가(步天歌)는 의상지(義象志)를 활용했고, 그 주석(注釋)과 비슷한 내용을 1700년 무렵의 중국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헌들은 1709년에 동시에 조선으로 수입되었다. 우리는 피휘, 참숙(參宿)와 자숙(宿)의 도치, 그리고 1791년에 운관절목(雲觀節目)을 개정할 때 기존의 보천가(步天歌)를 대신하여 이 보천가 취재(取才)에 사용된 사설 등으로부터 우리는 이 보천가(步天歌)의 작성 시기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1792년에 출간된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와 주석(注釋)은 그 모본(母本)에 해당하는 것이 중국에서 작성되어 1709년에 조선으로 수입되었고, 1709년과 1791년 사이에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로 작성되어 사용되다가, 1792년에 출간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연구에 대해 토의하였다.

New Pochonka published in the eighteenth century of the Choson dynasty was composed of star-charts based on the new observations made by Jesuits in China and songs corrected a little bit from previous version of Pochonka. The asterisms in the previous Pochonka are listed in the same order to that in the Song dynasty's literature; while the asterisms in the new Pochonka are listed in accordance with Pu-tien-ko published in China after the Ming dynasty. The Chinese-style twelve-equatorial-section system is adopted in the new Pochonka, while in its song is adopted the zodiac system, which can be seen in the star-charts of previous version of Pochonka. The asterisms belonging to three or four neighboring lunar-mansions are drawn in one chart. Each chart covers asterisms not belonging to a certain range of right ascension, but to a certain lunar mansion. We estimate the forming era of the new Pochonka from the following facts; that the Ling-Tai-I-Hsiang-Chih was used to make charts and footnotes whose archetype can be found in the Chinese literature around A.D. 1700, that these Chinese books were imported into Choson in A.D. 1709, that the naming taboo to the emperor Khang-Hsi was used, that the order of Shen-Hsiu (參宿) was transposed with Tshui-Hsiu (자宿), and that the new Pochonka was substituted for the old version when the rules of Royal Astronomical Bureau was reformed in A.D. 1791. In conclusion, the parent sources of the charts and footnotes of the new Pochonka might be imported from the Ching dynasty around 1709 A.D. to form the new Pochonka between A.D. 1709 and A.D. 1791, and finally to be published in A.D. 1792. We discuss the possible future works to make a firm conclu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일권 2007,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서울: 예문서원)
  2. 成周悳 1818, 書雲館志 (서울: 觀象監)
  3. 안상현 2000,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서울 : 현암사), p.26
  4. 안상현 2009, 한국우주과학회지, 26, 589
  5. 안영숙 2000, 한국천문학회지, 33, 177
  6. 이기원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29, 98
  7.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338-339
  8. 田蘭玉 2005, 中國語文學論集, 33, 129
  9. 전용훈 2002, 동방학지, 117, 1
  10. 전용훈 2004,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정성희 2005, 조선시대 우주관과 역법의 이해 (서울: 지식산업사), p.27, p.114
  12. 한국천문학사 편찬위원회 1999, 한국천문학사 연구 (서울: 녹두), pp.270-281
  13. 潘내 198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14. 潘내 200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15. 石雲里 1998, 中國科技史料, 19, 69
  16. 周曉睦 2004, 步天歌硏究 (北京: 中國書店)
  17. 祝平一 2009, 奎章閣, 34,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