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Space Environment from the Anomalies of Geosynchronous Satellites

지구정지궤도 위성의 오동작 사례를 통해 본 우주 환경 영향 분석

  • 이재진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봉수찬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최호성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조일현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조경석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 Published : 2009.12.15

Abstract

While it is well known that space environment can produce spacecraft anomaly, defining space environment effects for each anomalies is difficult.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spacecraft anomaly shows various symptoms and reproducing it is impossible.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the conditions of when spacecraft failures happen more frequently and give satellite operators useful information. Especially, our study focuses on the geosynchronous satellites which cost is high and required high reliability. We used satellite anomaly data given by Satellite News Digest which is internet newspaper providing space industry news. In our analysis, 88 anomaly cases occurred from 1997 to 2008 shows bad corelation with Kp index. Satellite malfunctions were likely to happen in spring and fall and in local time from midnight to dawn. In addition, we found the probability of anomaly increase when high energy electron flux is high. This is more clearly appeared in solar minimum than maximum period.

우주 환경이 인공위성의 오동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설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지만, 구체적으로 인공위성의 오동작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것을 우주 환경에 의한 영향이라고 주장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위성의 오동작 증상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오동작 증상을 재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성의 오동작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어떠한 경우에 위성의 오동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지 찾고자 하였다. 특히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활용도가 높은 지구 정지 궤도 위성의 오동작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위성 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atellite News Digest사에서 제공하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의 위성 오동작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지구 정지 궤도 인공위성은 Kp 지수와는 큰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았으며, 봄과 가을에 그리고 자정부터 새벽 시간대에 오동작이 발생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구 정지 궤도에서의 고에너지 전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위성의 오동작이 많이 발생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태양 활동 극대기일 때 보다는 극소기 일 때 더 잘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aker, D. N. 1998, Advances in Space Research, 22, 7 https://doi.org/10.1016/S0273-1177(97)01095-8
  2. Baker, D. N. 2000,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28, 2007 https://doi.org/10.1109/27.902228
  3. Baker, D. N., Kanekal, S. G., Blake, J. B., Klecker, B., & Rostoker, G. 1994 EOS, Trans., Amer. Geophys. Union, 75, 401
  4. Bodeau, J. M., Elkman, W. R., Diaz, J. F., Hansen, D. P., Kirsten, C., & Stevens, N. J. 1989, in Energy Conversion Engineering Conference 1989 (Washington DC: AIAA), p.375
  5. Farthing, W. H., Brown, J. P., & Bryant, W. C. 1982, NASA Technical memorandum 83908
  6. Garrett, H. B. & Whittlesey, A. C. 2000,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28, 2017 https://doi.org/10.1109/27.902229
  7. Iucci, N., Dorman, L. I., Levitin, A. E., Belov, A. V., Eroshenko, E. A., Ptitsyna, N. G., Villoresi, G., Chizhenkov, G. V., Gromova, L. I., Parisi, M., Tyasto, M. I., & Yanke, V. G. 2006, Advances in Space Research, 37, 184 https://doi.org/10.1016/j.asr.2005.03.028
  8. Kataoka, R. & Miyoshi, Y. 2006, Space Weather, 4, S09004 https://doi.org/10.1029/2005SW000211
  9. Vampola, A. L. 1994,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31, 154 https://doi.org/10.2514/3.26416
  10. Wilkinson, D. C. 1994,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 31, 160 https://doi.org/10.2514/3.26417
  11. Wrenn, G. L. 1995, J. Spacecraft and Rockets, 32, 514 https://doi.org/10.2514/3.26645
  12. Wrenn, G. L., Rodgers, D. J., & Ryden, K. A. 2002, Annales Geophysicae, 20, 953 https://doi.org/10.5194/angeo-20-953-2002
  13. Wrenn, G. L. & Sims, A. J. 1996, AGU Geophysical Monograph, 97,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