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터널 붕괴 위험도 지수(KTH-index)에 기반한 터널 설계안의 정량적 사전 위험도 시뮬레이션

Quantitative preliminary hazard level simulation for tunnel design based on the KICT tunnel collapse hazard index (KTH-index)

  • 신휴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권영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김동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배규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이홍규 (두산건설 토목사업본부 토목설계팀) ;
  • 신영완 ((주)하경엔지니어링)
  • 발행 : 2009.12.31

초록

이전 연구를 통하여 터널 굴진에 따른 터널 막장의 붕괴 위험에 대한 잠재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툴인 KTH-index(KICT Tunnel Collapse Hazard index) 지수화된 위험도 수준 표현 툴을 개발한바 있으며, 이는 다수의 시공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터널 위험도 지수를 기반으로 수행된 터널 설계안의 전 종단구간에 대해 정량적인 위험도 수준을 시뮬레이션 하는 새로운 설계안 적정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KTH-index 기반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항목의 결정이며, 대부분의 설계안 관련 항목과 시공관련 항목은 직접적으로 설계안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나, 불명확한 지반조건은 설계 당시 때 수행된 시추조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를 기초로 준비된다. 이때, 낙관적 시나리오와 비관적 시나리오에 기반한 터널 종단 지반조건 시나리오가 설정되었다. 이러한 위험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시뮬레이션 대상 설계안에 대한 위험도 수준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전에 파악된 요 주의구간은 시공단계와 연결시켜 시공 중 계측이나 막장관찰 시에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new indexing methodology so called KTH-index was develop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a potential level for tunnel collapse hazard, which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unnel construction sites to date. In this study, an attempt is made to apply this methodology for validating an outcome of tunnel design by checking the variation of KTH-index along longitudinal tunnel section. In this KTH-index simul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termine the input factors reasonably. The design factor and construction condition are set up based on the designed outcome. Uncertain ground conditions are arranged based on borehole test and electro-resistivity survey data. Two scenarios for ground conditions, best and worst scenarios, are set up. From this simulation, it is shown that this methodology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for providing quantitative validity of a tunnel design and also potential hazard factors which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in construction stage. The hazard factors would affect sensitively the hazard level of the tunnel site under consid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환, 이충환 (2007), “터널 리스크 평가 기법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터널기술,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9권, 제1호, pp. 63-74.
  2. 김영근, 김도형 (2008), “터널 안정성 및 환경성을 고려한 위험도 평가기법의 적용”, 터널기술,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pp. 1-15.
  3. 배규진, 신휴성 (2007), “터널 붕괴 위험도 (KTH) 지수 및 평가도표 개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7권, 제3C호, pp. 221-227.
  4. 신휴성, 권영철 (2009), “미시추구간의 정량적 지반 등급 분류를 위한 윈도우-쉬프팅 인공 신경망 학습 기법의 개발”, 터널기술,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11권, 제2호, pp. 151-162.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터널공사 재해최소화 및 예방기술 개발(V), 기본과제 연차보고서, 건기연 2008-056.
  6. Benardos, A.G. and Kaliampakos, D.C. (2004), "A methodology for assessing geotechnical hazards for TBM tunnelling-illustrated by the Athens Metro, Greece", Int. J. Rock Mech. Min. Sci., Vol. 41, pp. 987-999. https://doi.org/10.1016/j.ijrmms.2004.03.007
  7. Hudson, J.A. (1992), "Rock Engineering Systems: Theory and Practice", Horwood, Chicester.
  8. Shin, H., Kwon, Y., lung, Y., Bae, G. and Kim, Y. (2009), "Methodology for quantitative hazard assessment for tunnel collapses based on case histori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 Vol. 46, No. 5, pp. 1072-1087. https://doi.org/10.1016/j.ijrmms.2009.02.009
  9. Shin, H.S. (2001), "Neural network based material model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Ph.D. thesis: C/Ph/250/01.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Wales Swan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