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turalized Plants and regulating measures in Dokdo

독도 귀화식물과 관리방안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Dokdo was formed since when four million six hundred thousand to two million five hundred thousand. Dokdo, Ulreung Island and the mainland in Korea are not touch each other since the formation, therefore, Dokdo are very important island for discussion of plant evolution from plant geography point of view. Plants of Dokdo was enlisted as 60 taxa, 27 families, 52 genera, 50 species and 10 varieties. The naturalized plants of a wide sense is composed of 25 taxa, two tree species as Lonicera morrowii and Elaeagnus macrophylla, and 23 herb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of 5 species as Sonchus oleraceus,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Rumex crispus, Chenopodium album, and Bromus unioloides. Total naturalized plants are 32 taxa, ratio of total naturalized plants per a existing species was 60 percentage. Accordingly Vegetational environment of Dokdo was interpreted very incomplete state as well as severe ecological disturb by invade species. Preparation of a regulating plan on naturalized plants and concern of a policy decision are requested in the conservational dimension for native species in Dongdo. For the conservation of native species in Dokdo, there are prepared that a regulating plan as block of the influx and eradication etc. and a policy decision of naturalized plants are prepared for view of the conservation for native species in Dokdo.

독도는 460만 년 전부터 250만 년 전에 형성된 이래 울릉도나 본토와 한번도 맞닿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식물 진화를 논할 수 있는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 있는 섬이다. 동도의 광의의 귀화식물은 목본인 섬괴불나무와 보리밥나무 2종과 초본류 23종으로 총 27종류이다. 그리고 협의의 귀화식물은 방가지똥, 갓, 소리쟁이, 흰명아주, 그리고 개보리 등으로 5종류이다. 외부에서 이입된 귀화식물은 총 32종류에 해당하므로 동도 현존식물 약60종에 대해 60%에 해당한다. 따라서 독도는 이입종에 의한 생태적 교란이 매우 심하고 독도 고유 식물들의 생육환경이 매우 불안전한 상태이므로 자생종의 보전차원에서 귀화식물의 유입 차단이나 제거 등의 관리 방안이 도출되고 정책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achida, H., Arai, F., Lee, B. S., Moriwaki, H. and Furuta, H, 1984. Late Quaternary Tephras in Ulreung-Do. Kor. Jour. Geog. 93: 1-14 https://doi.org/10.5026/jgeography.93.1
  2. Nakai, T., 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Corea. Chosen Government
  3. 경주대학교 울릉학연구소. 2004. 독도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 울릉군. 113-190
  4.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박수현, 양영환. 2003.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V). 국립환경연구원보 25: 125-137
  5.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 2002.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II). 국립환경연구원보 24: 121-133
  6.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연명훈, 박수현, 양영환. 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V). 국립환경연구원보 26: 105-117
  7.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8. 박선주, 황규진, 박성준, 손성원. 2007. 울릉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1-12
  9.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10. 박수현. 2001. 한국의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11. 박재홍, 이돈화. 2007. 독도의 자연. 경북대출판부. 대구
  12.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 2004.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3. 선병윤, 박정희, 곽민주. 1996. 울릉도 및 독도 관속식물상의 특색. 자연실태 종합보고서 10: 113-135
  14. 선병윤, 김철환. 1998. 독도의 관속식물상. In. 독도연구총서 4권. 독도인근해역의 환경과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독도연구보전협회. 91-98
  15. 沼田眞, 小瀧唵一夫. 1975. 歸化植物. 日本図書館. 東京
  16. 신현탁, 김용식. 2002.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 195-216
  17. 양금철, 송민섭, 전의식. 2002.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18. 양인석. 1956. 울릉도의 식생. 경북대 논문집 1: 245-275
  19. 양인석, 송민섭, 전의식. 2001. 울릉도-독도 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20. 영남대학교 민족문제연구소. 1998. 울릉도.독도의 종합적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제연구소
  21. 오수영. 1978. 울릉도산 유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논문집 25: 131-201
  22. 울릉군. 2004. 독도의 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 경주대학교 울릉학연구소. 450
  23. 이덕봉.주상우. 1958. 울릉도식물상의 재검토. 고대문리논문집 3: 223-296
  24. 이영노. 1952. 독도식물채집기, 수산 제2호
  25. 이영노. 1971. 울릉도의 식물상, 울릉도종합학술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27-36
  26. 이우철, 양인석. 1981.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61-95
  27. 이준환, 이병천, 조현제, 배상원, 유천인, 박해철, 심재한, 전승훈. 1996.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서울임업연구원. 31-105
  28. 이창복. 1978. 독도의 식물상. 자연보존 22
  29.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상.하). 향문사.서울
  30. 임양재, 전의식. 1978. 한반도의 귀화식물의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 69-83
  31.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논문집 10: 329-435
  32. 최병문. 1968. 울릉도의 생물상일보. 청주교육대학논문집 9: 319-336
  33. 한국자연보전협회. 1981. 울릉도 및 독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자연보전협회
  34. 해양수산부. 2000. 독도 생태계등 기초조사 연구. 해양수산부
  35. 홍성천, 김용원, 박재홍, 오승환, 김진석, 장병태. 2002. 울릉군원색식물도감. 울릉군
  36. 환경부. 2001. 한국의 외래식물 종합검색시스템. 환경부
  37. 환경부. 2006. 독도생태계정밀조사 보고서.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