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aoistic Returnism in Jeong Wan-Young's sijo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 회귀주의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It is academically recognized that Jeong Wan-Young's sijo better represent Oriental id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aoistic characteristics of Jeong Wan-Young's sijo. This is an effort to succeed and further deepen and extend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ategorized the poet's sijo in accordance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above 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which are based on Taoistic idea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irst, some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represents an orientation of return to hometown which is brought by the sense of loss. His sense of loss is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his home is not what it was any longer and that he can't return to the old home. To overcome the sense, nevertheless, the poet is dreaming of return to home. The home found in Jeong Wan Young's sijo is something fundamental and original that he purposedly provided against the feeling of loss. It complies with the concept of 'Bokgwigigen(復歸基根)‘ a pursuit of Taoism. Second, other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are seeking purity to retrieve childish innocence. Their subjects include the season of spring, dreams of childhood and longing for mother all of which represent the poet's strong desire for such retrieval as above mentioned. It may be said that pursued by that pieces are 'Purity, Feebleness and Smoothness' that are sought by Taoism. Third, other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are considering human as a part of nature and seeking human life in harmony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y are seeking union between human and nature which means going beyond discrimination between self and external objects, that is, 'Mulayangmang(物我兩忘)'. This may refer to return to nature which i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Taoism.

정완영 시조에 대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양적 사유세계가 잘 드러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학문적 성취를 계승하고 심화 확대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道家的)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정완영의 작품 중에서 도가적 특징이 두드러진 작품을 찾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완영 시조에서 도가적 색채가 표출된 작품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양상으로 유형화시킬 수 있다. 첫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상실감에서 비롯된 고향회귀의식이 드러나 있다. 예전의 모습과 달리 변해버린 고향,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처지에서 느끼는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향회귀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들 속에서 고향의 의미는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해 설정된 근원적, 본래적 의미의 고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노장사상(老莊思想)에서 추구한 '복귀기근(復歸基根)'의 개념과 상통할 것이다. 둘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순수성 추구를 통해 동심 회복을 열망하는 작품들이 있다. 봄을 통해 동심 회복을 노래한 작품, 유년의 꿈을 통해 동심 회복을 추구한 작품,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동심회복을 표현한 작품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작품은 도가에서 지향한 '소박함, 연약함, 부드러움'을 추구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파악하고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지향한 작품들이 있다. 자신을 잊고 자타(自他)의 구별을 초월한, '물아양망(物我兩忘)'을 통해 자연과 인간과의 합일을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도가에서 궁극적 도달 대상으로 설정한 자연으로의 회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연구가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 경향을 그의 생애 및 살아 온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의 도가 관련 서적을 탐독한 독서 환경과 $1960{\sim}70$년대 근대화의 물결, 1980년대 시대 상황 등을 분석한 역사 전기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동양사상적 특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